여성 시급 1만8113원, 남성의 70%,
월평균 임금 268만원 남성의 65%

국내 여성 고용률이 처음으로 60%대를 돌파했다. 2010년의 52.7%에서 출발해 2015년 55.7%, 2019년 57.8%, 2020년 56.7%, 2021년 57.7%로 성장한 끝에 2022년에는 60.0%로 기록됐다.
다만 여전히 남성 고용률은 76.9%로 여성 고용률과 16.9% 포인트의 격차를 보인다. 또한 여성의 평균 시급은 남성의 70% 수준이며, 월 임금 역시 65% 수준으로 임금 격차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이다.
7일 여성가족부는 양성평등주간을 맞아 2023년에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을 발표했다. 이 통계는 1997년부터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으로 시작됐지만, 2022년부터 윤석열 정부가 출범함에 따라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연령대별로 여성 고용률을 살펴보면 20대 후반(73.9%), 50대 초반(68.9%), 30대 초반(68.5%) 순으로 높았다. 그러나 30대 후반(60.5%)에서는 임신, 출산, 육아 등의 이유로 경력 단절로 인해 고용률이 낮았다. 이러한 이유로 여성 고용률은 30대에서 감소하고 40대에서 다시 상승하는 'M자형' 모양을 그렸다. 고용률이 가장 낮았던 2010년에는 30대 초반(53%)이었고, 이는 초혼 및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발생한 변화다. 또한 아이들을 어느 정도 키운 후인 50대 초반에 고용률이 높아졌다.
여성의 시간당 평균 임금은 1만8113원으로 남성의 70.0%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2010년과 비교하면 8.4% 포인트 개선됐다. 여성 임금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68만3000원으로 남성(413만7000원)의 65.0% 수준이다.
또한 비정규직과 저임금 근로자 비율도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았다. 지난해 여성 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율은 46%였지만, 남성은 30.6%에 머물렀다. 저임금 근로자 비율은 여성이 22.8%, 남성은 11.8%로 여성이 남성보다 1.9배 높았다.
아울러 2022년에 여성 취업자 중 300인 이상 규모의 대기업에 취업한 비율은 8.4%로, 10년 동안 2.8%포인트 증가했다. 남성의 경우는 12.4%로 나타났고, 여성 대기업 진출은 아직 남성보다 적지만 상대적으로 더 높은 증가 추세를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