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소비자물가상승률 3.4%
농산물 가격·유가 상승 더해져
미국도 마찬가지 유로 영국도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다시 3%대를 넘어섰다. 기저효과가 사라진 동시에 농산물과 석유 가격이 상승한 영향이다. 이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 그리고 시차는 있지만 영국, 유로 지역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사진은 갤런당 5달러가 넘는 휘발유 가격을 게시한 미국 콜로라도의 한 주유소 /AP=연합뉴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다시 3%대를 넘어섰다. 기저효과가 사라진 동시에 농산물과 석유 가격이 상승한 영향이다. 이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 그리고 시차는 있지만 영국, 유로 지역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사진은 갤런당 5달러가 넘는 휘발유 가격을 게시한 미국 콜로라도의 한 주유소 /AP=연합뉴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다시 3%대를 넘어섰다. 기저효과가 사라진 동시에 농산물과 석유 가격이 상승한 영향이다. 지난해 석유 등 에너지 가격이 너무 올랐기 때문에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물가가 하락했는데 이 효과가 8월 들어 사라진 것이다. 이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 그리고 시차는 있지만 영국, 유로 지역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100)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상승했다. 전달(2.3%)에 비해 한 달 만에 1.1%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지난 4월(3.7%) 이후 가장 큰 폭이다.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100)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상승했다. 전달(2.3%)에 비해 한 달 만에 1.1%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지난 4월(3.7%)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최주연 기자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100)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상승했다. 전달(2.3%)에 비해 한 달 만에 1.1%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지난 4월(3.7%)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최주연 기자

이 같은 물가상승률 변화는 최근 두 달 동안 물가를 낮춘 기저효과가 사라진 데 기인한다.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고용부 물가동향팀은 블로그를 통해 “지난해 상반기 중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올해 상반기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빠르게 둔화하는 데 기여한 반면, 작년 8월 중 급락에 따른 기저효과는 지난달 물가상승률을 상당 폭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물가상승률 반등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캐나다 등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으며, 유로 지역, 영국 등에서도 연말에 가까워질수록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6월 정점을 기록하였던 미국 소비자물가상승률(9.1%)은 올해 6월 3.0%까지 낮아졌다가 7월에 3.2%로 반등한 데 이어 8월 오름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유로 지역과 영국은 러·우 전쟁의 영향으로 지난해 소비자물가상승률 정점 시점이 여타 주요국에 비해 늦었던 만큼 올해 연말 경 기저효과에 따른 물가상승률 반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6월 정점을 기록하였던 미국 소비자물가상승률(9.1%)은 올해 6월 3.0%까지 낮아졌다가 7월에 3.2%로 반등한 데 이어 8월 오름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주연 기자
지난해 6월 정점을 기록하였던 미국 소비자물가상승률(9.1%)은 올해 6월 3.0%까지 낮아졌다가 7월에 3.2%로 반등한 데 이어 8월 오름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주연 기자

기저효과뿐 아니라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 상승도 이번 물가의 상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석유류 가격은 기저효과와 반대로 크게 작용했으며 최근에는 국제유가 상승으로 전월 대비 상당 폭 올랐다. 농산물가격도 집중호우·폭염·태풍 등의 영향으로 빠르게 오르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월보다 1.1%포인트 높아졌다.

9월 물가는 8월 수준과 비슷하거나 이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도 한국은행은 전년 동기 대비 기저효과가 아직 남아있는 데다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이 상승세에 있기 때문이다. 특히 농산물 가격의 경우 추석 수요 등으로 상방 압력이 더 커질 수 있다.

다만 10월 이후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낮아져 연말까지 3% 내외 수준으로 등락할 것으로 보인다. 근원물가 오름세가 서비스 물가 중심으로 둔화 흐름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기·도시가스 요금 상승률도 작년 10월 큰 폭 인상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하면서 상당 폭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불확실성은 여전히 크다. 한국은행 물가동향팀은 “향후 유가 및 국제 식량 가격 추이, 기상 여건, 국내외 경기 흐름 등과 관련한 상·하방 리스크가 혼재하고 있다”면서 “이 가운데 그간 누적된 비용상승압력의 파급영향, 공공요금 및 유류세 조정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도 남아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향후 물가 움직임이 평탄하지 않을 수 있지만, 지난 2년에 비해 물가 상승압력이 완화되면서 기조적으로는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 과정에서 물가 변동성이 일시적으로 커질 수 있겠지만 한두 달의 움직임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추세적인 물가 흐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