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계 “질환 인식 강화 영향으로 보여”

지난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 개학을 앞둔 경기도 안양시의 한 초등학교 교실 위에 학생들을 위해 준비한 손 소독제가 놓여 있다. /연합뉴스
지난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 개학을 앞둔 경기도 안양시의 한 초등학교 교실 위에 학생들을 위해 준비한 손 소독제가 놓여 있다. /연합뉴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진료를 받는 어린이와 청소년 수가 최근 4년 동안 80% 이상 치솟은 것으로 파악됐다.

1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6월 기준 6-18세의 어린이와 청소년 중 2018년에 ADHD 진료를 받았던 인원이 4만 4741명이었으며, 이 중 남학생이 3만 6469명, 여학생이 8272명으로 집계됐다.

2022년에는 ADHD 진료를 받는 인원이 총 8만 1512명으로 늘었다. 남학생 6만 3182명, 여학생 1만 8330명으로 성별에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교육당국에 등록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올해 4월 기준 10만 9700명가량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큰 규모다. 특히 학부모가 단순히 '주의가 산만하다'고 판단해 병원 치료나 상담을 받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일선 교사들의 지적을 고려하면 실제 ADHD 아동·청소년 수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에서는 이처럼 ADHD 진료인원이 증가한 배경으로 유병률 자체가 늘었다기 보다는 질환에 대한 인식이 강화됐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다만 교육당국이 ADHD 문제행동 대응 매뉴얼이나 지원대책 등을 갖고 있지 않은 데다 교사가 학부모에게 상담·치료를 요구하기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늘어나는 ADHD 학생을 지도하는 일이 교사 개인의 책임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위기학생 지원기관인 위(Wee)센터 등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지만, 이 역시 학부모가 자녀의 문제 행동을 인식하고 상담·치료에 적극적으로 나설 경우에 가능하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에서는 ADHD뿐 아니라 돌봄이 필요한 학생을 파악하고 있지만 교육부가 (통계를) 갖고 있지는 않다"며 "정서·행동 검사를 시행해서 전문가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보호자에게 병·의원 연계 지원을 해주는데 어쨌거나 병원에 가는 것은 학부모 동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김동석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권본부장은 "대부분의 교사가 학부모에게 힘들게 에둘러서 (아이의 문제를) 말하면, 돌아오는 것은 '집에서는 멀쩡한데 왜 이상한 애로 만드냐?'는 반응이다"라며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조기에 문제를 발견하고 (학교와 가정이) 협력하려면 국가가 ADHD와 경계성 장애에 대해 통계관리부터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