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상까지 조사 완료···다음은 李 대표
두 사건 묶어 동시 청구하는 카드 유력
자진 사퇴설엔 웃으며 묵묵부답 선 긋기

백현동 개발 특혜와 쌍방울 대북 송금 의혹에 연루된 혐의를 받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조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법조계 일각에선 두 사건을 묶어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가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10월 당 대표 자진 사퇴설'까지 제기됐다.
31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은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 이 대표의 관여 여부를 밝히기 위해 다음 달 중 소환조사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앞서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지난 25일 이 대표의 최측근인 정진상 전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를 벌였다.
백현동 개발은 성남시 백현동 옛 한국식품연구원 부지(11만1265㎡)에 아파트를 세우기로 한 사업이다. 성남시는 2015년 연구원 부지의 용도를 자연·보전녹지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4단계 상향 조정했는데, 김인섭 전 한국하우징기술 대표가 성남시청에 로비한 결과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당시 성남시장은 이재명 대표인데 부지 용도를 자연녹지에서 준주거지로 변경해 주는 등 인허가 특혜를 줘 민간에게 부당이득이 돌아가도록 했다는 게 검찰의 시각이다. 검찰은 정 전 실장을 상대로 이와 관련한 내용을 이 대표에게 보고하고 승인받았는지 등을 추궁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검찰은 정바울 아시아디벨로퍼 회장으로부터 청탁받은 김인섭 전 한국하우징기술 대표가 이 대표와 당시 성남시 정책실장이던 정진상과의 친분을 이용해 인허가를 따낸 것으로 의심한다.
보고·지시 여부가 두 사건의 관건
김두관 "당 지도부가 잘 대응해 와"
이 대표는 현재 성남시 대장동 개발사업 비리 의혹, 성남FC 후원금 의혹으로 기소돼 재판받고 있다. 아울러 쌍방울그룹의 대북 송금 의혹으로도 수원지방검찰청 조사 선상에 있다. 대북 송금 의혹은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이 2019년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요청으로 당시 경기도 지사였던 이 대표의 방북 비용 300만 달러와 경기도의 북한 스마트팜 지원 500만 달러 등 800만 달러를 북한에 전달했다고 의심받는 사건이다.
검찰은 김 전 회장이 북한에 800만 달러를 건넨 배경에 이 전 부지사와 이 대표의 지시 또는 보고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쌍방울의 송금이 자진 납부가 아닌 보고·지시에 따른 대납이라면 2019년 7월 이화영-김성태 만남에 앞서 경기도가 5월 보낸 편지에 방북을 타진한 내용이 들어 있어야 하지만 이는 포함되지 않았다.
검찰은 지난 27일 김 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조사한 데 이어 정 전 실장도 조만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부원장에 이어 정 전 실장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면 다음 수순은 이 대표다. 사법 리스크와 내년 4월 총선 승리 등을 감안해 이 대표가 총선 여섯 달 전인 10월께 일선으로 후퇴하고, 친이재명계 김두관 의원을 차기 당 대표로 내세우는 모양새를 취할 것이란 뒷말이 나오는 배경이다.
하지만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10월 사퇴설'에 대한 질문에 웃으며 답하지 않았다. 김두관 의원도 이날 SBS 라디오에 나와 "전혀 사실무근이고 금시초문"이라고 부인했다. 김 의원은 "사법 리스크 문제와 관련해 당 지도부가 충분하게 대응 준비를 하고 있어 전혀 그럴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언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