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회원국 중 韓 자살률 1위 지적
10년간 줄어들다 2018년 기점 늘어

폐쇄 못한 '우울증 갤러리'에서 또 모방범죄 우려 /연합뉴스
폐쇄 못한 '우울증 갤러리'에서 또 모방범죄 우려 /연합뉴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한국의 젊은 여성들의 자살이 급증하고 있는 원인으로 성차별적 문화를 꼽았다. 

이코노미스트는 22일(현지 시각) 한국의 자살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라고 지적했다. 한국의 자살률은 10년간 줄어들다 2018년을 기점으로 다시 늘기 시작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한국 남성의 자살률은 증가하지 않은 반면 여성 중에서도 젊은 층 여성의 자살률이 증가한 것이 한국의 전체 자살률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이코노미스트가 18개국 40세 미만 여성의 2018~2020년 자살률 통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자살률이 10만 명당 13.6명에서 16명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나머지 17개국 평균 자살률이 4.6명에서 4.7명으로 소폭 증가한 것과는 대조된다. 

또 해당 언론은 최근 한국의 10대 여성들이 자살을 시도하는 것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생중계한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지난달 16일 서울에서 10대 여학생이 건물 옥상에서 극단적 선택을 하며 SNS로 중계됐고, 이달 5일에도 10대 여성 두 명이 서울 한강 다리에서 자살을 시도하는 장면이 생중계된 사례를 언급하며 심각성을 부각했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젊은 여성들의 자살률 증가 원인에 대해 "(한국) 여성들이 점점 더 모순적인 기대를 강요받고 있다"며 "그들(한국 여성)은 집에서는 대부분 가사 노동과 육아를 짊어지고 있고, 외벌이 가정이 줄어들면서 밥벌이까지 해야 한다는 기대도 받고 있다"고 짚었다. 또 직장에서는 훌륭한 성과를 내도 차별받고, 아직도 여성은 일보다 육아를 해야 한다는 인식에 시달리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그러면서 "많은 이들이 성차별적인 미적 기준과 여성혐오, 성적 학대, 몰래카메라, 포르노 등에 노출된다"며 "불안정한 직장을 가질 확률도 높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