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자동차업체 독일 폭스바겐이 미국 내 '배출가스 눈속임'으로 대규모 리콜 명령과 판매 중단을 당했지만 그 여파가 독일 시장으로 미칠 조짐이다.

독일 정부가 폭스바겐의 디젤 차량 전량에 대한 광범위한 특별 조사를 지시하고 나섰다.

마르틴 빈터코른 폭스바겐 최고경영자(CEO)는 "진심으로 죄송하다. 이로 인해 끼친 손해를 복구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할 것"이라고 사과했다.

알렉산더 도브린트 독일 교통부장관은 21일(현지시간) "독립적인 전문가들이 폭스바겐의 모든 디젤 차량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조사에 즉각 나서도록 연방자동차청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독일 정부가 폭스바겐에 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선을 넘어서 독립적인 전문가들을 통한 직접 조사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한국 정부도 미국 환경보호청(EPA) 발표 이후 검토 끝에 폴크스바겐과 아우디 차량에 대해 검증에 들어가기로 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폭스바겐그룹이 미국 이외의 나라에서도 속임수를 썼는지에 대해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면서 "문제가 된 차종의 배출가스가 어느 정도인지 국내에서도 검사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EPA는 지난 18일 폭스바겐 그룹이 미국의 자동차 배출가스 환경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눈속임했다면서 48만2천대의 디젤 차량에 대한 리콜 명령을 내렸다.

폭스바겐과 아우디 디젤 승용차가 검사를 받을 때는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실제 도로에서 주행할 때는 이를 꺼지도록 했다는 것이 EPA의 설명이다.

폭스바겐 측은 혐의를 인정하며 미국에서 제타, 비틀, 골프, 파사트, A3 등 폴크스바겐과 아우디의 4기통 디젤차의 판매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리콜과 판매 중단 대상 차량은 지난 8월 미국에서 팔린 폭스바겐그룹 차량의 23%에 해당한다.

아울러 조사가 완료되면 최대 180억 달러(약 21조원)의 벌금을 부과받을 수도 있다.

이 같은 대형 악재는 이날 폭스바겐 주가를 추락시켰다.이날 하루 시가총액이 약 140억 유로(약 18조6천억원) 증발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