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채무자 100만명 채무액 730조
전체 대출자 56.4%가 다중채무자
채무액, 전체 자영업의 70% 달해
금리 줄인상에 이자 상환도 어려워

서울 여의도의 한 은행 창구에서 고객들이 상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여의도의 한 은행 창구에서 고객들이 상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이후 계속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들의 대출이 10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됐다. 자영업 대출자 10명 가운데 6명은 대출로 자금을 끌어 써 현재 이자 상환조차 막막한 '다중채무자'다. 이들의 연이자 부담액은 이미 1000만원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짐작된다.

4일 한국은행의 '자영업자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자영업자의 대출은 1019조8000억원으로 추산됐다. 한은이 개인사업자대출 보유자를 자영업자로 간주해 이들의 가계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을 더해 분석한 결과다.

전체 자영업 대출자 173만명 가운데 56.4%(약 97만명)는 가계대출을 받은 금융기관 수와 개인사업자대출 상품 수의 합이 3개 이상인 다중채무자였다. 10명 가운데 6명꼴이 더 이상 추가 대출을 받기 어려운 한계 차주인 셈이다.

다중채무자의 채무액은 720조3000억원으로 전체 자영업 대출의 70.6%에 달했다. 이들의 1인당 평균 대출액은 작년 4분기에 4억2000만원으로 추정됐다.

대출금리가 오르면 다중채무자의 이자 부담은 일반 자영업 대출자보다 더 많이 뛰었다. 금리가 1.50%포인트 인상되면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1인당 연이자는 454만원씩 불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준금리 줄인상으로 대출금리도 3%포인트 올랐다면 각 다중채무자의 이자는 평균 908만원이 불어 원금은커녕 갈수록 이자 상환마저 어려운 처지에 몰릴 수 있었다.

다만 일반 자영업자도 연이은 금리 인상으로 궁지에 내몰리고 있다. 전체 자영업자의 대출 종류별로는 사업자대출(671조7000억원)이 가계대출(348조1000억원)의 약 2배에 이르렀다. 지난해 3분기(1014조2000억원) 처음으로 1000조원을 웃돈 자영업자 대출액은 계속 불어나 4분기에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자영업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 증가분을 추산했을 때 대출금리가 0.25%포인트 높아지면 1인당 평균 연이자는 60만원 불어났다. 금리가 1.50%포인트 오르면 1인당 이자 증가액은 362만원까지 늘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