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제일 1600억원·한국씨티 732억원 배당
배당금 전액 100% 지분 소유 외국계 본사로

윤석열 대통령의 ‘은행은 공공재’ 발언에도 외국계 은행은 철갑을 두른 듯 해외 본사로 ‘억’ 소리 나는 배당금을 송금하고 있다. 수백억대 규모는 거뜬히 넘는다. 대표적으로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의 본사 배당금액은 모두 합쳐 23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배당금 전액은 100% 지분을 갖고 있는 외국계 본사 앞으로 송금된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SC제일은행은 전날 정기이사회를 열고 1600억원 규모의 결산 배당을 의결했다. 배당은 오는 31일 정기 주주총회를 거쳐 최종 결정된다.
한국씨티은행도 지난달 15일 정기 이사회에서 732억원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30일 주주총회에서 확정되면 내달 중 배당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이 같은 성과는 지난해 이자 이익 증가가 주효했다. SC제일은행은 작년 3901억원의 순이익(잠정)을 냈다고 밝혔다. 순이익 규모는 전년(1279억원)의 3배를 넘는 수준이다.
SC제일은행의 과거 배당 규모는 2019년 6550억원, 2020년 490억원, 2021년 800억원을 배당했다. 이번 1600억원 배당은 전년에 비해 2배가 늘었다.
한국씨티은행도 SC제일은행과 상황은 같다. 과거 한국씨티은행은 2019년 652억원, 2020년 465억원을 배당했다.
2021년에는 소비자금융 부문 철수에 따른 희망퇴직 비용으로 인해 당기 순손실을 기록하면서 배당하지 않았다. 이는 내국인과는 별개의 일이다.
한국씨티은행의 미국 씨티그룹이 100% 출자했으며, 지분율은 99.98%로 사실상 배당금이 전액 본사로 보내지고 있기 때문이다. 씨티은행 최대주주는 미국 '씨티뱅크 오버씨즈 인베스트먼트 코퍼레이션'이다.
SC제일은행도 스탠다드차타드 북동아시아법인(Standard Chartered NEA Limited)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배당금 1600억원은 해외 본사 계좌로 입금된다.
외국계 두 회사 금융당국 권고와 배치
이복현 “고배당은 중‧저신용자에 타격”
이는 중‧저신용자에 대한 신용 공여가 불가능한 상황을 경계하는 금융당국 입장과 배치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배당을 많이 하려면 위험가중자산 비중을 낮춰야 하므로 지금처럼 어려운 시기에 중·저 신용자에 대한 신용 공여가 불가능해진다"며 "또한 중장기적으로 금융회사의 성장과 관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발언한 바 있다.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은 자본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배당을 결정했다는 입장이다. SC제일은행 관계자는 "이번 배당 규모는 2022년도 회계 결산 결과에 따른 일상적인 경영 관점에서 결정됐다"며 "이번 배당 이후에도 BIS 자기자본비율과 기본자본(Tier 1) 비율은 각각 17.83% 및 14.73%로 국내외 감독 당국의 자본규제 요건을 웃돈다"고 설명했다.
한국씨티은행 관계자도 "자본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업계 최고 수준의 자본 적정성을 유지하고 있다"며 "위기 상황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수준의 손실을 가정하고 이를 대비한 충분한 대손충당금과 자본 여력을 감안해 배당금을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