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유전체 데이터 활용 제한에
국내 관련 기업 "걸음마 막 뗐는데"
백인 위주 데이터에 '규제' 풀어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부통령이었던 2013년 12년 6일 한국을 방문해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서 정책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부통령이었던 2013년 12년 6일 한국을 방문해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서 정책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이 바이오 분야 '자국 제조' 정책을 강조하면서, 국내 유전체 분석 기업의 데이터 사용 제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일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으로 인해, 국내 바이오 유전체 분석 기업이 미국 내 바이오 데이터 접근에 어려움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유전체 분석 기업의 경우 대체로 미국의 바이오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면서 "이번 바이든 정부의 행정명령은 중국이 미국의 데이터를 보지 않게 하기 위함이 목적이지만, 이렇게 된 이상 한국도 제재 영향에 들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유전체 분석 시장은 지난 2003년부터 활성화됐다. 당시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되면서부터다. 2016년 6월부터는 국내 민간 유전체분석 시장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민간 바이오 유전체 분석 기업이 생겨났다. 

하지만 아직 국내 유전체 분석 시장은 글로벌 시장에 비해 진입 단계다. 따라서 대부분의 유전체 분석 관련 데이터를 미국 내 데이터에 의존하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유전체 분석 기업 대표 A씨는 본지에 "이번 미국의 행정명령을 보면, 미국 자국 내 바이오 데이터에 대한 외국의 개입 위험에 대한 강경 대응 조치가 포함됐다"며 "미국 내 바이오 데이터 산업의 인력양성, 데이터 확보 또는 보안 측면에서 일명 '쇄국' 정책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인지에 따라 국내와의 바이오 데이터 시장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유전체 분석 데이터는 주로 백인이나 미국인 위주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다.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인은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데이터 수집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법망에 막혀 유전체 분석 데이터를 애초에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국민의힘 의원은 "유전자 검사 가능 항목 수를 늘려야 한다. 해외에서는 개인정보보호법 등에 따른 데이터 수집 규제를 최소화하는 추세"라며 "지금이라도 바이오 데이터 활용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