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언제 정점 찍을지 불확실해져
경제제재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경제 제재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유럽중앙은행(ECB)을 비롯한 각국의 금융기관에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영국과 독일의 국채금리(10년물)는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강화되면서 각각 전일 6bp, 3bp 하락했지만,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부각되며 반등했다. 이사벨 슈나벨 ECB 집행위원은 "유로존 물가상승률이 언제 정점을 찍을 것인지가 상당히 불확실해졌다"고 언급했다.
미국과 유럽연합이 고려 중인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 내용은 △국제결제망(SWIFT) 배제 △러시아 기업의 금융거래 정지 및 자산 동결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대한 수출 통제 강화 등이다. 하지만 유럽 현지에선 이같은 경제 제재가 군사적 대립을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란 여론이 조성되고 있다.
영국계 금융그룹 HSBC와 바클레이스(Barclays) 등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가 극단적으로 강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럽 현지인들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세계무역과 국제금융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아 두 국가의 경제적 타격이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으로 여기는 분위기"라고 한국은행은 전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비철금속(구리, 니켈 등), 천연가스, 곡물 등의 주요 수출국이다. 경제 제재 시 이와 관련된 글로벌 제조업 생산 위축, 에너지·식료품가격 상승 등이 심화될 가능성은 높다.
이와 함께 경제 제재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독일, 이탈리아)와 그렇지 않은 국가(프랑스, 영국) 간 입장 차이로 인해 더욱 강력한 제재 방안을 내놓는 데 신중한 입장이다.
또 이번 경제 제재가 팬데믹 이후 경기회복세를 크게 저해할 정도는 아닐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다만 각국의 중앙은행은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보다 긴축적으로 운영할 전망이다.
프랑스계 BNP 파리바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인플레이션 우려로 지속적인 금리인상 신호를 보내고 있고 영란은행 역시 긴축 기조를 유지 또는 강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도이치뱅크 역시 "유럽중앙은행(ECB)이 단기적으로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겠으나 인플레이션 우려가 심화되면서 금년 중 출구전략을 모색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