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21일 기자회견서 '선대위 직책 사퇴' 의사 밝혀
"조수진 사과 받아들일 생각 없어… 김종인 만류"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21일 오후 국회 당 대표 회의실에서 상임선대위원장 사퇴 발표 기자회견을 마친 뒤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다. / 연합뉴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21일 오후 국회 당 대표 회의실에서 상임선대위원장 사퇴 발표 기자회견을 마친 뒤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다. / 연합뉴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21일 "선대위의 모든 직책을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에서 상임선대위원장과 홍보미디어총괄본부장을 겸하고 있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 본청에서 긴급기자회견을 통해 "선대위 구성원이 상임선대위원장의 지시를 따를 수 없다고 공개발언할 수 있다면 선대위의 존재 필요성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선대위 공보단장인 조수진 최고위원을 저격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표는 "거기에 더해 이를 바로잡는 적극적 행위가 없었고 오히려 여유가 없어서 당 대표를 조롱하는 유튜브 방송 링크를 취재하는 언론인들에게 보냈다는 것을 확인하는 순간 확신이 들었다"고 했다. 다만 "당 대표로서 당무는 성실히 수행하겠다"며 당대표직 수행 의지는 밝혔다.

그러면서 "울산에서의 합의대로 당 관련 사무에 있어선 후보가 요청하는 사안이 있다면 협조하겠다"며 "선거를 위해 홍보미디어 총괄본부에서 준비했던 것들은 승계해 진행해도 좋고 기획을 모두 폐기해도 좋다. 어떠한 미련도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 대표는 자신을 비방하는 유튜브 영상을 일부 기자들에게 전송한 조 최고위원의 거취표명을 촉구한 바 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자신의 SNS에 "아침에 일어나서 사과 같지도 않은 사과 해놓은 걸 보니 기가 찬다"고 적었다. 또 그에 앞서 전날인 20일 선대위 비공개 회의에서도 고성을 주고 받으며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한편 조 최고위원은 선대위 직책 사퇴를 선언한 이 대표의 기자회견 직후 당대표실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유를 막론하고 제가 정말 송구하게 됐다"고 사과했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갈등을 겪고 있는 조수진 선대위 공보단장이 21일 오후 국회 당 대표실을 나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연합뉴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갈등을 겪고 있는 조수진 선대위 공보단장이 21일 오후 국회 당 대표실을 나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연합뉴스

다음은 이 대표와 일문일답.


- 조 최고위원이 당대표실에서 기다리고 있는데 일부러 만나지 않은 건가.
= 관심이 없고 나는 조 최고위원이 어떤 형태로 사과한다 하더라도 받아들일 생각이 없다. 특히 어제 오전내 바로 사과한 이후에 나는 그 내용도 언론에 공개하지 않았지만 사과라고 보기가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 바로 6시에 언론인들에게 공보단장으로 해서는 안될, 논란이 있는 유튜브 영상을 본인이 직접 전달했다. 이는 사과의 대상이 아닌 징계의 대상이며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했는데도 이렇게 반응하는 걸 보면 정말 본인의 뜻으로는 사퇴도 할 수 없는 인물인지 궁금하다.

- 오늘 선대위원장직을 내려놓겠다고 예고했었다.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은 어떤 말을 했나.
= 김종인 위원장은 만류했고 내가 다시 오늘 사퇴하겠다는 의지를 말씀드렸다.

- 윤 후보와 이 문제를 소통했나. 조 단장을 둘러싼 문제로 상임선대위원장 직을 내려놓는 것은 과도하다는 비판도 있다.
= 비판은 당연히 감수하겠다. 조 단장이 본인은 후보의 뜻을 따른다고 말씀하셨다. 그러면 이렇게 사태가 커질 때까지 하루 동안 후보에게 상의한 건지, 그리고 후보는 어떤 취지로 명을 내린 건지 궁금해진다.

-내려놓는다는 게 조 단장 때문인지 아니면 선대위 슬림화를 위한 건지 말해달라. 조치가 이뤄지면 다시 복귀할 생각이 있나.
= 복귀할 생각이 없다. 선대위 구성에 따른 전권은 후보가 쥐는 것이다. 나는 그 안에서 역할을 하기 위해 노력했다. 어제 있었던 선대위에서는 책임 있는 관계자가 다 모여있는 자리에서 중차대한 논의를 하자는 내 제안이 거부됐다. 심지어 공보단장은 후보 이름을 거론하며 굉장히 부적절한 행위를 했다. 상임선대위원장의 지시를 듣지 않겠다고 공개적으로 발언하고 그에 대한 어떠한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 선대위 전혀 기능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판단한다). 내 의지와 관계없이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선대위 보직을 사퇴하는 것이다.

-선거 과정에서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고 싶은지.
= 당 대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겠다. 그것은 정의하기 나름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미련도 없다. 정권 교체를 위한 마음은 있으나 실제 참여할 길이 없는 다른 의원들이나 당원들의 마음도 비슷할 것이다. 일부 핵심 관계자를 자처하는 사람들에게 가려서 빛을 못 보는 사람들이 당내에 많이 있다.

-후보랑 소통했는지.
=개인적인 거취 표명이기 때문에 후보와 상의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다).

-이 상황에 대해 후보의 책임이 있다고 보나.
=내가 내 보직을 사퇴하는 건 상의하고 싶으면 하는 거고 던지고 싶으면 깔끔하게 던지는 것이다. 후보와는 관계 없다.

-상의 안했다는 말인가.
=안했다.

-당 대표인데 너무 쉽게 직을 내려 놓은 것 아니냐는 비판이 있다.
=상임선대위원장이 각각 보직을 맡은 선대위 책임자에게 지시를 내렸는데 불응했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그것이 교정되지 않고 오히려 (나를) 조롱했다. 어느 누구도 교정되지 않았다. 이틀간 지속된다는 건 선대위 내에 내 역할이 없다는 걸 의미한다고 본다.

-조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를 할 수 있지 않나.
=내가 거취표명하라고 했으나 하지 않았다. 그리고 조 최고위원은 최고위원으로서 당무를 소홀히 하지 않길 바란다. 건강 문제를 알지만 선대위 회의는 참석하고 최고위 회의는 참석하지 않았는데, 그런 선택적 행동조차도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굉장히 잘못된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조 단장 개인 문제뿐 아니라 윤 후보의 리더십에도 문제가 있다고 보나.
=후보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 그런데 내가 당 대표로서 대선에서 좋지 못한 결과를 얻는다면 상당한 불명예를 얻게 되겠지만, 선거에 대한 무한 책임은 후보자가 갖게 된다. 그것 때문에 후보자 선택을 항상 존중한다.

-여전히 조 단장 사퇴 촉구하나.
=미련 없다. 마음대로 하라.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