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요양병원 의사 청원 보도 후 정부 발표
"2차 의료기관 경·중증 치료 위해 방침 변경"

코로나 전담병원이 아닌 일반 요양병원도 코로나-19 위중증 관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24일 정부는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발표를 통해 "최근 확진자 증가에 따른 경증 ·중등증환자에 대한 치료를 강화한다"며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의 공급을 요양병원 및 생활치료센터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팩트경제신문이 23일 '벼랑 끝에 선 요양병원…집단 격리 오징어게임 끔찍' 기사를 보도한 이후 요양병원에도 코로나 치료제를 공급하라는 청와대 청원 응원 글과 댓글이 쇄도하자 나왔다.

기존엔 정부가 코로나-19 전담 병원에 한해 렉키로나를 공급해왔다. 따라서 일반 요양병원에선 사실상의 병원 봉쇄인 '코호트(cohort, 동일집단)' 격리와 자가 면역에 기대는 방법 말고는 대책이 없었다.
그러자 서울시에 있는 한 요양병원의 내과의사가 청와대에 청원 글을 올렸고, 이를 팩트경제신문이 받아 보도하면서 요양병원의 다급한 실태가 널리 알려졌다.
정부 발표에 요양병원 업계는 크게 환영하고 있다. 서울시 소재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내과의사 이 모씨는 "요양병원에서 속수무책 쓰러져가는 환자들을 보면서 망연자실했는데 늦게나마 치료제를 쓸 수 있게 돼 다행"이라며 "요양병원은 위중증으로 번지지 않기 위한 초기 치료가 관건이라 노년층 및 와상환자를 위한 항체치료제가 절실했다"고 말했다.
항체치료제는 처치가 어려운 약물이 아님에도 요양병원 내 확진 환자는 수혜대상자가 아니었다. 실제 해열제만 처방받는 경우가 비일비재해 요양병원은 '아노미상태'로 비견되곤 했다.
요양병원을 중심으로 코로나 위중증 환자가 연일 증가세를 보여 이같은 조치가 발생률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