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서울시교육청 앞서 '스마트기기 도입 반대' 기자회견
"AI 아닌 선생님 원해"… 세수 증가로 교육교부금도 '껑충'

 

"서울 미래교육 파괴 주범 조희연은 물러가라."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이 추진하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 반대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사업 추진과정에서 학부모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데다, 장기간 공사기간에 따른 학생들의 안전 우려, 교육의 질 저하 등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어서다.

서울지역 학부모들은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학습' 철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조희연 교육감의 사퇴를 요구했다.

김나형 대곡초 학부모회장은 "스마트기기를 지급해 민간회사 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하면 이를 통해 사교육에 공교육이 종속될 것이고 학교 선생님들은 사교육의 보조수단으로 전락할 것"이라며 "조희연 교육감의 무모한 실험정신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망친다"고 주장했다.

학부모 일동은 입장문을 통해△우리마을 교육토론회의 문제점 △국가교육위 설치 중단△BYOD - 디벗 사업 △고교학점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19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서울시 학부모 일동이 '스마트기기 도입 반대'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 옥지훈 기자 
19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서울시 학부모 일동이 '스마트기기 도입 반대'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 옥지훈 기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은 교육부가 올해부터 2025년까지 총 18조5000억원을 투입해 40년 이상 된 학교 건물을 개축·리모델링 하는 사업이다. 학습 환경 개선이 교육부가 밝힌 사업 목적이다.

하지만 학부모들은 "미래학교는 이름만 바꾼 혁신학교"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일부 학교에선 초등학생들이 공사기간 동안 컨테이너로 만든 '모듈러 교실'에서 수업을 받게 돼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조전혁 서울시혁신공정교육위원장은 이날 팩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학교 시설을 바꾸고 스마트기기를 나눠준다고 스마트 교육 환경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며 "국민 예산을 비용 대비 효율을 따지지 않고 남는 돈을 '번갯불에 콩 볶듯이' 쓴다"고 말했다.

또한 조 위원장은 현재 AI를 활용할 수 있는 교사나 학교 역량을 파악하지 않고 시행하려는 서울시 교육당국의 행정도 문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9월 중순께 서대문구 연희초 등 일부 학교의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 재검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강남구 대곡초·잠실중에 대해선 사업 철회를 결정해 '강북지역 차별' 논란도 일고 있다.

[영상 = 옥지훈]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