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여성 평균임금, 남성 대비 2009년 98.5%→2019년 92.3%
전체 남성 대비 전체 여성 평균임금, 2019년에도 60.6%에 불과

3일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사진)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근로소득 100분위 성별·연령대별 통계에 따르면 20대 남녀 임금격차가 10년 전과 비교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 연합뉴스
3일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사진)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근로소득 100분위 성별·연령대별 통계에 따르면 20대 남녀 임금격차가 10년 전과 비교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 연합뉴스

20대 남녀 임금격차가 10년 전과 비교해 더 커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체 연령에서 남녀 임금격차가 소폭 개선된 것과 달리 사회 초년생의 경우 남녀 임금격차는 심화됐다는 것이다.

3일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근로소득 100분위 성별·연령대별 통계에 따르면 20대 여성의 평균임금은 2009년에 남성 평균임금 대비 98.5%에서 2019년에 92.3%로 감소했다. 전체 남성 대비 전체 여성의 평균임금은 2019년에도 남성의 60.6%에 불과했다.

특히 총급여 기준 20대 여성은 평균임금 증가 속도가 20대 남성보다 느렸다. 총급여는 급여 총액에서 비과세 근로소득을 제외한 소득을 가리키는데, 2009년부터 2019년까지 20대 여성의 평균임금은 1480만원에서 2160만원으로 늘어 46.2% 증가했다. 그러나 이는 전체 여성 평균임금 증가율인 57.8%보다 크게 낮다.

반면, 같은 기간 20대 남성의 평균임금은 1500만원에서 2340만원으로 늘어 55.9% 증가했다. 전체 남성 평균임금 증가율 50.9%보다 높다. 결과적으로 20대 남성과 여성의 평균임금 격차는 20만원에서 180만원으로 늘어난 셈이다.

용 의원은 20대의 남녀 평균임금 통계를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이 악화된 것으로 해석했다. 통상 20대 여성이 20대 남성보다 취업이 빠르고, 남녀 학력격차가 점점 줄어드는데도 임금 격차는 오히려 커졌기 때문이다.

용 의원은 "20대에선 남성이 오히려 차별당한다는 일각의 주장은 적어도 근로소득 통계로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여성은 20대에서조차 노동시장에서 남성보다 구조적으로 불리한 처지에 있다"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