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연구원, 대선 정책 기획안에 '생활기본소득' 문구 삽입 논란
이낙연 측 불만 제기···송영길 "당지도부, 공정하게 경선 이끌것"

더불어 민주당 송영길 대표와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오후 경기도청 제1회의실에서 열린 '2021 더불어민주당 경기도 예산정책협의회' 참석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 연합뉴스
더불어 민주당 송영길 대표와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오후 경기도청 제1회의실에서 열린 '2021 더불어민주당 경기도 예산정책협의회' 참석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권 주자들의 신경전이 격화되면서 송영길 당대표가 이재명 후보를 밀어주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당의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이 이 지사의 대표 정책으로 볼 수 있는 '생활기본소득' 보장 문구를 대선 정책 기획안에 넣으면서다. 

송영길 대표가 대선 경선 일정을 비롯해 주요 이슈에서 이 지사의 편의를 봐주는 것 아니냐는 일명 '이심송심' 논란이 일고 있는 모습이다. 이에 대해 일부 친문 세력이 속한 이낙연 전 대표 측이 불만을 제기하고, 지도부 역시 반발하고 있다.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지난 1일 자신의 SNS에 송영길 지도부의 경선 관리 편파성을 문제 제기했다. 

최 전 수석은 "당 민주연구원 대선 정책 기획안에 생활기본소득이 들어 있는데, 기본소득은 특정 후보의 대표 공약이라 부당하다"며 철회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심판 역할을 하는 당 지도부와 보직자는 당장 선수 라커룸에서 나와야 한다"고 했다.

이낙연 후보 측도 문제를 제기했다. 정무실장인 윤영찬 의원은 기자간담회에서 "(생활기본소득이) 당의 공식적 입장인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며 "지도부와 선거관리위원회의 입장은 늘 공정하고 어떠한 의혹도 없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민주연구원장인 노웅래 의원은 "당 지도부를 흔들면 안된다"며 "생활 기본소득에 대한 연구는 전임 이낙연 대표 시절 홍익표 연구원장 때 연구한 주제"라고 반박했다. 노 의원은 강성 친문과는 거리가 있는 대표적인 비주류로 꼽힌다. 

그러면서 "기본소득 주제는 어느 한 후보만의 것이 아니다"면서 "마찬가지로 연구원은 (이낙연 전 대표의 대표 공약인) '신복지'에 대한 연구도 했다"고 말했다. 

이에 이낙연 캠프 정책총괄본부장인 홍익표 의원은 "송 대표와 지도부는 거짓으로 당장의 비판을 모면하려 하지 않기 바란다"고 반박했다.

홍 의원은 자신이 민주연구원장 재직 때 진행한 대선 정책 기획안 목차를 공개했다. 그러면서 "기본소득은 언급조차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송영길 대표 체제가 좀 솔직하거나 당당하면 좋겠다"고 공격했다. 

이처럼 자신을 둘러싼 '이심송심' 논란이 일자 송 대표는 2일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약간의 유불리에 따라 당 지도부에 서운함을 표시할 수 있는데, 우리당 지도부는 공정하게 원팀 정신으로 민주당 경선을 이끌겠다"고 공식입장을 내놨다. 

고용진 수석대변인도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마치 당 대표가 특정후보 공약을 당의 대표 공약에 반영하는 것처럼 (지적)하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면서 "지도부 핵심 목표는 대선 경선의 공정한 관리이고, 그를 통한 대선 후보의 경쟁력 확보, 이어지는 대선 승리"라고 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