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대표 선거 선두 이준석 후보 반대 입장에 정면 반박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주최 토론회에서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국회의원, 지방의원 후보 공천에서 여성 할당제를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연합뉴스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주최 토론회에서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국회의원, 지방의원 후보 공천에서 여성 할당제를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1일 국회의원·지방의원 후보 공천에서 여성할당제를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는 이준석 후보는 '공정한 제도에 의한 경쟁의 틀 마련'을 내세워 여성·청년 등 각종 할당제에 반대하고 있는 가운데 경선 관리의 총책임을 맡은 김 대표대행이 특정 후보의 주장을 공개적으로 반대한 것이다. 

김 대표 대행은 이날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주최로 열린 '2022년 전국동시지방선거,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방안' 토론회에서 여성 비례후보 비율을 50% 이상으로 의무화한 2005년 선거법 개정과 관련, "당시 정치개혁특위 위원으로서 법안 통과에 적극적으로 힘을 보탰다"며 "앞으로 그것을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역구 공천에서 여성을 30% 이상 추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권고사항을 의무규정으로 바꾸자는 여성계의 주장에 공감한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김 대표 대행은 "여성의 정치 참여는 단순한 숫자의 확대 문제가 아니라 그보다 더 큰 가치를 갖고 있다"며 "여성의 정치 참여가 확대될수록 정책과 예산 배정에 있어서 양성평등의 관점도 반영되고, 우리 사회에 여성의 활력이 더 높아질 수 있으며 나라의 건전한 발전 방향에도 큰 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 대행은 "울산 시장 재임 때 여성 참여비율을 약 40%까지 높이기도 했고, 여성 공무원을 승진시키기 위해 여성에게 실질적으로 가산점을 주면서 배정한 적도 있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한편 한국여성단체협의회 허명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한국여성단체협의회는 공직선거법 제47조 4항을 의무조항으로 규정하는 활동 하는 등 여성대표성 확대를 위한 꾸준한 노력을 전개해왔으며 오늘 대토론회를 통해 선거법 개정의 필요성을 상기하고 향후 여성계가 나아가야 할 여성의 정치 참여확대 방향을 정립할 수 있도록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