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수출액 100억원 달성·5G 첫 세계 상용화 등 목표

정부가 향후 5년간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에 총 9조원을 투자해 '제2의 ICT 전성기'에 기반한 경제 성장을 이뤄낼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5일 판교 테크노밸리 글로벌 R&D 센터에서 이 같은 계획을 담은 'K-ICT 전략을 발표하고, 민간 분야와 적극적인 협력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19년 ICT산업 성장률 8%, 2020년 ICT 생산 240조원, 수출 2천100억불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구체적으로 ICT체질개선과 관련해서는 'R&D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여 현장중심의 산학연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패스트트랙(Fast-Track)' 제도를 도입해 R&D 지원을 통해 우리 기업들이 ICT 기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ICT 융합서비스 확산을 위한 대규모 투자와 관련해서는 오는 2019년까지 총 2조1000억원을 투자해 교육, 의료, 관광, 도시, 에너지, 교통 등 6대 분야 대규모 ICT융합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글로벌 사업과 관련해서는 신흥·개도국을 중심으로 한 패키지형 전략상품을 개발하고, '글로벌 협력단'을 조직하여 시장맞춤형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한편, 평창 ICT 올림픽 성공개최(5G 시범서비스, IoT 맞춤 서비스 등)로 우리 ICT의 글로벌 위상을 높여 나간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SW 분야에서는 운영체제(OS), 기계학습, CPS, DBMS, UI/UX, 분산컴퓨팅, 알고리즘, 지능형SW 등 8대분야를 선정해 SW기초분야별 연구거점을 구축하고, VC가 투자한 창업성장 기업에 R&D를 지원하는 한편, GCS사업의 자유공모형 전환, 중소·벤처 M&A 편드에서 SW 분야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