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충격 삼성·LG…2분기 TV 점유율 中에 1위 뺏겨

시장조사업체 옴디아 "중국, 코로나 충격 상대적 빠른 회복세 결과" 3분기 이후, 국내 기업 점유율 회복세 보일 것

2020-06-16     박철중 기자
LG전자 OLED TV / LG전자 제공

글로벌 TV 시장에서 선전했던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기업들이 2분기에는 중국에 밀려 시장 점유율이 크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중국 가전업체들이 1분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았고 그 여파가 미국·유럽 등 해외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국내 기업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16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옴디아가 최근 발표한 올해 2분기 글로벌 TV 시장 예상 출하량(시장 규모)은 총 3861만7000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1분기 4649만9000대에 비해 약 17% 감소한 것이면서 지난해 2분기 4771만대보다 19% 이상 줄어든 것이다.

지난 3월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언 이후 유럽·미국 등 주요 국가 가전 매장의 셧다운, 공장 폐쇄 등의 여파가 고스란히 반영된 결과다.

이 가운데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기업들의 2분기 예상 출하량은 총 1277만9000대로 지난 1분기(1677만8000대)보다 400만대가량(-23.8%)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우리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도 글로벌 예상 출하량의 33.1% 수준으로, 지난 1분기 36.1%에 비해 3%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중국 기업들의 2분기 예상 출하량은 올해 1분기(1514만3000대)와 비슷한 1514만9000여대로 우리 기업들을 제치고 글로벌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글로벌 예상 점유율도 40%에 육박(39.2%)해 국내 기업과의 점유율 격차가 6%포인트 이상 벌어진다.

가전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의 주력 시장인 미국·유럽 등지가 2분기에 코로나 여파로 큰 타격을 받은 것과 달리, 코로나 발원지인 중국은 2분기 들어 서서히 코로나 충격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며 상대적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인 결과"라고 설명했다.

수출이 주력인 국내 TV 업체들과 달리 중국 기업들은 중국 내수 시장 의존도가 높다.

패널별로는 LCD(액정표시장치) TV가 앞서 1분기에 작년 동기보다 16.6% 감소한 데 이어 2분기에 다시 19.2%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비해 LG전자를 중심으로 하는 프리미엄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는 올해 1분기에 작년대비 9.0% 증가한 데 이어 2분기에도 16.4%(추정) 늘어나는 등 코로나 여파에도 불구하고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코로나19의 파장이 프리미엄 라인인 OLED보다 주로 저가의 LCD 패널 TV에 직격탄이 된 것이다.

가전업계는 그러나 올해 3분기 이후부터는 상반기의 충격을 딛고 점차 국내 기업들의 점유율도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옴디아가 지난 3월 말 발표한 올해 하반기 TV 예상 출하량은 3분기 5451만대, 4분기 6690만대 등 총 1억2141만대로 상반기 추정치인 8209만대에 비해 47%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OLED 시장은 올해 하반기부터 샤프를 비롯해 화웨이, 비지오, 샤오미 등이 새로 진입하면서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