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5월 13일 '등교' 확정…고2 이하, 20일부터 순차 등교
유은혜 교육부총리 "등교 수업, 코로나19 종식 의미 아냐" "아프면 학교 가지 말아야" 당부 "생활 속 거리 두기 · 학교 방역 지침 전 국민의 관심과 협조"
오는 13일에 첫 등교 수업이 시작된다. 이날은 대입 준비가 급한 고3부터 수업을 시작한다. 고2 이하 학년들은 5월 20일부터 세 차례로 나눠서 등교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등교 수업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코로나19 대응 체계를 이달 6일부터 '생활 속 거리 두기'로 전환하는 만큼, 그동안 '사회적 거리 두기'를 위해 중단했던 등교 수업을 시작하기로 했다.
고2 이하 학년의 등교가 이달 20일부터 하기로 한 이유는 지난달 30일부터 이어진 연휴가 끝나고 2주가량은 코로나19 확산 여부를 지켜봐야 한다는 감염병 전문가들 의견에 따른 것이다.
다만, 고등학교 3학년은 황금연휴로부터 일주일 뒤인 13일부터 먼저 등교한다.
고3은 학기 초에 이뤄졌어야 할 진로·진학 상담이 너무 늦어졌고, 대입 수시모집용 1학기 학교생활기록부를 빨리 채워야 하는 등 이유 때문이다.
교육부는 "교원·학부모 대상 설문조사에서 고3이 우선 등교하는 방안에 교원의 76.9%, 학부모의 85.0%가 찬성한다고 답했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학년은 20일부터 순차적으로 등교 수업을 시작하기로 했다.
중·고등학교는 고학년부터, 초등학교는 저학년부터 등교를 시작한다.
20일에 고2·중3과 초 1∼2학년이 등교하고, 27일에는 고1·중2와 초 3∼4학년이 등교한다. 마지막으로 6월 1일에 중1과 초 5∼6학년이 등교한다.
중·고등학교와 달리 초등학교만 저학년부터 등교하는 이유는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아이 돌봄 부담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판단 때문이다.
유치원도 20일부터 문을 연다. 유치원은 코로나19 여파로 원격수업도 하지 않은 채 휴업 중이었는데, 원래 개학일인 3월 2일 이후로 79일 만에 개학하게 됐다.
등교 수업의 구체적인 방식은 지역별·학교별로 달라질 수 있다.
교육부와 방역 당국이 가장 강조하는 것은 "아프면 학교에 가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학생이 열이 나거나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학부모 등 보호자는 학생을 학교에 보내지 않는 것을 이제 생활화해야 한다.
등교 전 가정에서 이뤄질 자기 조사 항목에는 발열과 호흡기 증상 외에 메스꺼움, 미각·후각 마비, 설사 등의 증상이 추가로 담겼다.
학생들은 등교할 때 발열 등 증상 검사를 받아야 하고, 수업을 들을 때는 1∼2m 간격을 두고 앉아서 수업을 듣는 내내 마스크를 써야 한다.
유 부총리는 "등교 수업이 코로나19의 종식을 의미하지 않는다"면서 "어렵게 결정된 등교 수업이 차질 없이 이뤄지려면 생활 속 거리 두기와 학교 방역 지침에 대한 전 국민의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