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얼어붙은 '소비심리', 금융위기 수준 하락
4월 소비자심리지수, 전달보다 7.6포인트 내려 70.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석달 이상 장기화 되면서 소비심리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때인 2008년 12월(67.7)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0년 4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4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달보다 7.6포인트 하락한 70.8로 나타냈다.
지난 3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심리를 매달 조사하기 시작한 2008년 7월 이후 최대인 18.5포인트나 폭락했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6개 주요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로 수치가 100보다 낮으면 장기평균(2003∼2019년)보다 심리가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소비자들은 경제 상황, 씀씀이를 더 늘릴지 여부, 취업 기회는 얼마나 있을지에 대해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전체 지수를 구성하는 세부 CSI를 보면 현재경기판단(31)이 7포인트, 향후경기전망(59)이 3포인트 각각 내렸다. 두 지수 모두 2008년 12월 이후 최저다.
현재생활형편(77)은 6포인트, 생활형편전망(79)와 가계수입전망(83)은 4포인트씩 떨어졌다.
앞으로 소비지출을 지금보다 많이 늘릴지에 관한 지수인 소비지출전망은 6포인트 내린 87로 현재 방식으로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8년 7월 이후 가장 낮았다.
취업기회전망 지수는 6포인트 내린 58로 2009년 3월(55) 이후 가장 낮았다. 임금수준전망 지수도 7포인트 꺾인 102로 조사됐다.
반대로 가계부채전망 지수는 99에서 102로 올랐다. 빚이 더 불어난다고 보는 소비자들이 더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