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로또 판매량 역대 최고 '하루 104억원씩 팔려'

정부 "신규 판매점 개설 영향"…'1인당 74번 산 셈' 불황도 영향 미쳤을 듯

2018-01-10     정창규 기자
지난해 로또복권이 하루 평균 104억원 어치 팔려 판매량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여성경제신문 자료사진

작년 한해 로또복권으로 '인생 역전'을 꿈꿨던 이들이 역대 가장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104억 원어치나 팔렸다. 판매점이 늘어난 영향도 작용했지만 사상 최악인 청년 실업난 등 체감 경기가 좋지 못했던 점도 일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10일 복권 수탁 사업자인 나눔로또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로또복권 판매액은 약 3조7948억원(추첨일 기준)으로 추산된다.

판매량 기준으로는 작년 역대 최고 기록을 다시 썼다. 작년 통계청 추정 인구(5144만명)로 판매량을 나눠보면, 한국인 1명당 로또를 74번 샀다는 계산이 나온다.

판매액 기준으로는 새로운 역대 2위에 해당한다. 하지만 역대 1위인 2003년(3조8242억원)은 로또 한 게임에 2000원이었던 터라 판매량은 그 절반인 19억1210만 게임이었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작년 로또 판매액은 한 게임당 1000원으로 내린 후 가장 많은 셈이다.

2002년 하반기부터 판매를 시작한 로또는 2003년 '광풍'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14년이 지난 현재도 깨지 못하고 있는 사상 최고 매출액을 당시 찍었다.

2003년 4월 12일 당첨금 이월로 1등 당첨자 한 명이 사상 최대 당첨금인 407억2000만원을 차지했다.

2월에는 무려 835억9000만원을 13명이 나눠 가지면서 사재기 열풍이 부는 등 사회적 문제로까지 지적됐다.

사행성 논란까지 빚어지자 정부는 로또 당첨금 이월 횟수를 줄이고 2004년 8월에는 한 게임당 가격을 2000원에서 1000원으로 내리면서 로또 판매액은 전년보다 13.7% 감소한 3조2984억원으로 주저앉았다.

로또 판매액은 2005년 2조원대(2조7105억원)로 떨어지고서 연속으로 내리막을 걸어 2007년에는 사상 최저 판매액인 2조2677억원까지 떨어졌다.

이후 다시 반등한 로또 판매액은 2014년 3조489억원으로 3조원대를 회복한 후 꾸준히 증가해 작년 '1000원 시대' 최고매출을 새로 썼다.

작년 하루 평균 로또 판매액은 104억원이었다. 사상 최대였던 2003년(105억원) 후 14년 만에 처음으로 100억원을 넘어섰다.

로또복권 판매 증가는 작년 경기가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음에도 청년 실업률은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 등 체감 경기가 좋지 못했던 점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복권은 경기가 나쁠수록 소비가 늘어나는 '불황형 상품'으로 꼽힌다.

정부는 그러나 로또복권 판매 증가 요인을 로또 판매점 증가에서 찾았다. 작년 635개 점포가 새로 늘어 총 판매점은 7230개로 늘어났다.

정부는 작년까지 이어진 로또 판매 증가세가 올해에는 다소 꺾일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12월부터는 로또를 인터넷으로도 판매할 계획이지만, 전체 판매액의 5%로 제한돼 추가 매출액 증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리라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