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공천안 의결 보이콧” 전격 부산행
"후보 등록 종료 때까지 최고위 개최 안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공천안 의결이 보류된 5개 지역에 대해 최종 의결을 하지 않기로 했다. 선관위 후보등록 만료일(25일)까지 최고위도 열지 않기로 했다. 이어 지역구인 부산으로 떠났다.
김 대표는 "의결이 보류된 5곳은 무공천 지역으로 남기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24일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보류된 5개 지역에 대한 공천관리위원회의 결정에 대해서 의결을 하지 않기로 했다"면서 "이를 위해서 지금부터 후보 등록이 끝나는 내일까지 최고위를 열지 않겠다"고 말했다.
5개 지역은 이재오 유승민 의원이 공천 심사 결과에 반발해 탈당한 서울 은평을, 대구 동구을과 서울 송파을, 대구 동구갑, 대구 달성군이다.
서울 은평을은 유재길 새은평미래연대 대표, 대구 동을은 이재만 전 대구 동구청장, 서울 송파을은 유영하 전 인권위 상임위원, 대구 동갑은 정종섭 전 행자부 장관, 대구 달성군은 추경호 전 국무조정실장이 공관위에서 단수 추천됐다.
김 대표가 최고위를 열어 이들 지역의 공천 심사를 추인하고 당 대표 직인을 찍지 않을 경우 무공천 지역으로 남게 된다.
김 대표는 "우리 당을 살아있는 정당, 건강하고 활기찬 정당으로 만드는 길이 무엇인지 많은 분께 묻고 또 저 자신에게 물었다"면서 "그 결과 잘못된 공천을 최소한이나마 바로잡아서 국민께 용서를 구하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또 "이번 총선에서 정당 역사상 처음으로 상향식 국민공천제를 당론으로 결정했다"면서 "이는 국민과 당원의 뜻을 담아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는 게 정치혁신이고 정치발전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공천 결과 전국 253개 지역구 가운데 꼭 경선해야 하는 지역이 161곳이었는데 경선은 141곳에서 열리면서 국민께 약속드린 국민공천제가 100% 관철되지는 못했다"면서 "약속을 지키지 못한 점 당 대표로서 다시 한번 고개 숙여 사과 드린다"고 유감을 나타냈다.
이어 김 대표는 지역구인 부산으로 향했다. 김 대표의 부산행은 친박(친박근혜)계 최고위원들이 공천안 추인을 위한 최고위원회 소집을 요구할 것을 예상, 자신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의도로 해석됐다.
실제로 김 대표의 기자회견 직후 원유철 원내대표와 서청원·이인제·이정현 최고위원,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황진하 사무총장을 통해 이날 오후 긴급 최고위원회 개최를 요구했다.
당 관계자는 “김 대표가 오늘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한 기자회견 직후 지역구 사무실로 향한 것으로 안다”면서 “향후 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