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경제성장률 26개국 중 3위···반도체 활황 기대에 내년 전망치 2.3% 관측도
27일 한은 경제성장률 전망치 주목 노무라증권, 민간 소비 회복세 전망
올해 들어 ‘상저하고’ 흐름이 뚜렷해진 한국 경제의 3분기 GDP 성장률이 OECD 집계 26개국 중 3위에 올랐다.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2분기 회복 흐름이 3분기까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은 1.166%로 집계되며 전날까지 속보치를 발표한 26개국 가운데 3위를 기록했다.
이스라엘은 2분기 -1.1% 역성장 이후의 기저효과로 3분기 성장률이 2.967%까지 급반등해 1위에 올랐고, 인도네시아가 1.216%로 2위를 차지했다.
중국의 3분기 성장률은 1.1%에 머물며 2022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한국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영국(0.082%), 독일(0%), 프랑스(0.504%) 등 주요 유럽국도 전반적으로 저성장 흐름을 벗어나지 못했다. 일본은 -0.442%로 26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국내 경제는 올해 ‘상저하고’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1분기에는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되며 성장률이 -0.219%까지 하락했고 국제 순위도 37개국 중 34위에 그쳤다.
2분기에는 미국 상호관세 충격 속에서도 수출이 호조를 보이며 0.675%로 회복해 순위가 10위까지 상승했고 이러한 개선 흐름이 3분기까지 이어졌다.
한은이 내일(27일) 경제전망을 통해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내년 2% 중반대를 점치기도 했다.
최근 노무라증권은 보고서에서 내년 한국의 GDP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2.3%로 상향 조정했다.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따른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와 자산 가격 상승, 민간 소비 회복 조짐이 근거로 제시됐다.
이 전망치는 정부·한국개발연구원(KDI)·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1.8%는 물론 한국금융연구원(2.1%)과 OECD(2.2%) 추정치보다도 높다. 한은이 지난 8월 제시한 1.6%와 비교하면 0.7%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며 현실화할 경우 이창용 총재가 언급한 잠재성장률 1.8%를 크게 상회하는 결과가 된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주가와 집값이 동시에 오르면서 부의 효과가 일어나 소비를 회복시킬 것"이라며 "내년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은 종료된 것으로 본다"며 "한은이 정부의 확장 재정을 지원하며 내년 말까지 연 2.50%로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여성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syeon0213@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