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비트코인에 'MSCI 지수 채찍'···디지털 금본위 꿈 무너지나

조작된 서사로 버티는 밈자산으로 전락 JP모건, '비트코인 과다보유 기업 퇴출' ETF 유입은 해방 아닌 족쇄로 드러나 갈림길에 선 블록체인 커뮤니티 대혼란

2025-11-24     이상헌 기자
JP모건의 리서치 노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비트코인 비중 50% 초과 기업의 편입 배제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여성경제신문DB

비트코인 보유 기업을 지수에서 제외하는 규제가 추진되면서, 월가가 암호화폐 기반 상장사를 직접 통제하는 국면으로 넘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포문을 연 것은 JP모건의 리서치 노트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비트코인 비중 50% 초과 기업의 편입 배제를 검토하기 시작한 것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ETF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도 이번 JP모건 이슈로 근본적 한계를 드러냈다. ETF는 지수·규제·편입 기준이라는 전통 금융의 울타리 안에서만 움직인다. 비트코인 가격이 아무리 급등해도 지수 사업자가 편입 기준을 변경하는 순간 ETF 자금은 자동으로 차단된다. 즉 “기관·ETF가 비트코인을 구조적으로 끌어올린다”는 내러티브가 현실적으로 지속 불가능함이 드러난 셈이다.

디지털 금 서사, 또는 유동성에 의존한 급등은 언제든지 붕괴될 수 있는 잠재 리스크다. ETF는 ‘기관의 진입 → 구조적 상승’이라는 서사를 만들어냈지만, 이번 MSCI 조치가 보여준 것은 정반대다. ETF가 비트코인 가격을 떠받치는 새로운 수요 기반이 아니라, 전통 금융이 비트코인을 통제하는 레버로 변할 수 있다는 구조적 한계가 드러난 것이다.

특히 ETF 유입을 ‘전통 금융의 인정’으로 해석해 온 기대는 이번 MSCI 전격 검토로 사실상 붕괴됐다. 전통 금융 시스템이 편입 자격을 빌미로 비트코인 상장사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음을 공개적으로 확인한 셈이기 때문이다. ETF는 유입을 보장하는 통로가 아니라, 규칙을 통해 비트코인을 길들이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역설적 구조가 현실화된 것이다.

MSCI의 새 규정안은 대차대조표의 절반 이상을 암호화폐로 보유한 기업을 지수에서 제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비트코인을 공격적으로 매입해 온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맞춤형 제재’라는 평가가 나온다. 월가가 이 정도 수준의 제약 조치를 검토한 것은, 비트코인 편입 상장사가 패시브 자금의 자동 유입을 흡수하는 구조를 견제하려는 목적이 크기 때문이다.

패시브 자금은 규칙 기반으로 움직이는 만큼, 지수 출입 여부가 기업의 주가 안정성·자금 조달력에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JP모건이 규정 검토를 부각한 것도 이 지점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지수에 남고 싶으면 위험 자산인 비트코인 비중을 줄여라”는 메시지다.

앞으로 지수 제외 가능성이 현실화될 경우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선택지에 직면한다. 비트코인 보유량을 줄여 편입 기준을 맞추거나, 지수 이탈을 감수하더라도 비트코인 중심 전략을 유지하는 방향이다. 어느 쪽이든 단기 시장 변동성은 불가피하다.

블록체인 커뮤니티에서는 JP모건에 대한 보이콧 움직임도 나타났다. 일부 투자자들은 체이스 은행 계좌 해지나 예금 인출을 인증하며 ‘금융기관의 암호화폐 간섭’에 대한 저항 의사를 표했다. 다만 실효성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결국 금융시장에서 비트코인은 ‘위험 포트폴리오의 한 칸’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들 자산으로 간주되고 있다. 채권·주식 등 기존 큰 축들의 금리·유동성 사이클이 바뀌면 비트코인 역시 그 흐름을 따라 움직이는 고위험 변동성 자산군이라는 것. 이른바 ‘디지털 금본위’ 서사는 실제 인프라와 제도 환경 앞에서 설득력을 잃을 전망이다.

여성경제신문 이상헌 기자 liberty@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