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사건 재발 막는다” 금융당국, 자금 세탁 의심거래 전수조사 돌입

해외지점 AML 통제 실태 점검 강화

2025-11-24     허아은 기자
캄보디아 프놈펜 인근 망고단지 /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범죄가 발생한 것을 계기로 초국경 범죄 대응을 위한 자금세탁 방지 체계를 전면 강화한다. 금융권에 대한 ‘의심거래 일제 보고’를 시작했으며 은행권을 넘어 카드사·보험사 등 전 업권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24일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에 따르면 이형주 FIU 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자금세탁방지 유관기관협의회’를 열고 초국경 범죄 관련 자금세탁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FIU와 금융권은 초국경 범죄와 연계된 의심거래 유형을 공동 분석하기로 했으며 금융회사는 해당 거래를 일괄 보고하는 방식으로 대응에 나선다.

은행권은 지난주부터 FIU와 협의해 일제 보고를 시작했고 이 조치는 다른 업권으로도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보고된 의심거래는 FIU의 상세 분석을 거쳐 향후 수사기관의 범죄조직 추적·적발에 활용된다.

FIU는 초국경 범죄 가능성이 있는 고객에 대한 확인 절차 강화, 동남아시아 소재 지점·자회사에 대한 현장점검 확대 등 AML(자금세탁방지) 내부통제도 보강하기로 했다.

최근 금융감독원이 실시한 은행권 해외 지점·자회사 AML 운영 실태 점검에서 일부 기관이 서면점검에만 의존하는 등 통제 미비가 확인된 데 따른 조치다.

FIU는 앞으로 자금세탁 방지 검사에서 금융회사 해외 지점·자회사 관리 실태를 중점 점검할 계획이다. 이형주 원장은 “이번 협의회는 초국경 범죄 대응의 첫걸음”이라며 “캄보디아 사례에 국한하지 않고 향후 발생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초국경 범죄에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허아은 기자 ahgentum@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