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말이 세상을 바꾼다'
‘말’은 사람을 살리고, 세상을 움직인다 저자 이필형이 전하는 한 줄의 기적
세상을 바꾸는 것은 결국 ‘말’이다
“말은 씨앗이다.” 저자 이필형은 이 한 문장으로 책의 핵심을 관통한다. 그는 삶의 굴곡 속에서 자신을 일으켜 세운 것은 거대한 사건이 아니라 누군가의 짧은 한마디였다고 고백한다. 이 책은 말의 힘으로 살아온 한 사람의 고백이자 동시에 모든 사람의 이야기다.
“세상을 바꾸는 건 제도가 아니라 말의 힘이다.” 저자는 이 믿음으로 글을 썼다. 그가 말하는 ‘세상을 바꾸는 말’은 상처를 어루만지는 짧은 문장들이다.
“괜찮다, 다시 하면 된다” — 한 문장이 건넨 생의 용기
저자는 가난한 농가의 아들로 태어나 논두렁의 냄새 속에서 인내와 겸손을 배웠다. 그는 좌절의 순간마다 아버지의 한마디 “괜찮다, 다시 하면 된다”를 떠올렸다고 쓴다. 그 말은 무너진 세상에서 다시 일어서는 인간의 존엄에 대한 신념이었다.
이 책 속에는 ‘살아 있는 문장들’이 가득하다. 한 권의 책, 한 사람의 말, 한 줄의 문장이 사람을 바꾸고 세상을 움직인다. 그는 그것을 “말의 기적”이라고 부른다. 그 말들은 화려하지 않고 흙냄새 나는 진심과, 오래된 경험의 무게로 빛난다.
말은 사람을 살리고, 세상을 움직인다
이필형은 말이 가진 ‘치유력’과 ‘창조력’을 함께 바라본다. 그는 “한 줄의 말이 사람을 살릴 수도, 무너뜨릴 수도 있다”고 말한다. 책 속엔 정치인으로서의 경험, 행정 현장에서 만난 사람들, 그리고 개인의 고뇌가 교차한다. 그의 문장은 늘 따뜻하고, 현실을 향해 있다.
그는 화려한 연설보다 ‘진심이 담긴 한 문장’이 더 큰 힘을 가진다고 믿는다. 그래서 이 책은 말의 기술이 아닌 말의 태도에 관한 책이다. 듣는 사람을 향한 존중, 말의 무게를 아는 성찰이 이 책 전체를 관통한다. 그가 제안하는 건 ‘말의 회복’이다.
상처에서 피어난 언어, 흉터에서 배운 지혜
이 책에는 작가의 인생이 그대로 녹아 있다. 어린 시절의 가난, 실패, 그리고 좌절의 순간들이 솔직하게 드러난다. 하지만 그 이야기들은 불행의 기록이 아니다. 그는 상처를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을 ‘빛나는 흉터’라 부른다.
“흉터는 우리가 살아냈다는 증거이자,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이유다.” 그는 자신의 실패를 통해 ‘말의 품격’을 배웠다. 상처를 안은 사람만이 타인의 고통을 진심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믿는다. 『말이 세상을 바꾼다』는 살아 있는 ‘사람의 기록’이다.
세상은 ‘좋은 말’을 기다리고 있다
저자는 말이 현실을 바꾸는 가장 직접적이고 아름다운 방법이라고 말한다. 책 속의 이야기들은 추상적인 이상이 아니라 구체적인 변화의 씨앗들이다. 행정 현장에서 만난 노인, 청년, 아이들의 이야기 속에 ‘진짜 말’이 있다.
그 말들이 모여 지역을 바꾸고, 공동체를 회복시키고 사회를 조금씩 따뜻하게 만든다. 그는 “말은 정책보다 빠르고, 제도보다 오래간다”고 쓴다. 정치와 행정의 언어가 아닌 사람과 사람 사이의 언어가 세상을 움직인다는 메시지다.
그래서 이 책은 정치인· 행정가 이필형이 아니라 말이 세상 전체를 바꿀 수 있다고 믿는 한 사람의 기록이다.
한 줄의 기적을 믿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결국 ‘한 줄의 기적’을 찾는 모든 사람에게 전하는 위로다. 인생의 벼랑 끝에 서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이야기들이 있다. 그는 절망을 딛고 걸어온 사람들의 공통점이 ‘말을 붙잡는 힘’이었다고 말한다. 낯선 말 속에서 자신을 찾고, 타인의 한마디에서 다시 살아나는 순간들. 그것이 이 책이 전하는 메시지다.
저자의 문장은 독자를 위로하면서도 다짐하게 만든다. ‘다시 시작하라, 너는 이미 충분하다’는 무언의 응원을 건넨다. 『말이 세상을 바꾼다』는 조용하지만 강력한 ‘기적의 언어’로 남을 것이다.
저자 약력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나 경복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삶의 이정표마다 책과 말이 길을 밝혀주었고, 공직의 길에서는 수많은 만남이 새로운 깨달음이 되었다. 은퇴 후 두 발로 걸어 오른 산에서 얻은 울림을 글과 사진으로 기록하며 자연이 들려주는 언어에 귀 기울였다. 현재는 서울시 동대문구청장으로서 현장에서 주민들과 호흡하며 더 따뜻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다.
이번 책에는 여행지의 풍경과 사람들의 이야기, 공직의 경험, 그리고 삶을 흔든 한 줄의 말이 담겨 있다. 자신을 바꾸었던 말이 누군가에게 응원과 위로가 되기를 바라는 저자의 마음이 담겼다.
저서
『숨결이 나를 이끌고 갔다』
『네팔의 시간은 서두르지 않는다』
『몽블랑, 하늘로 가는 길목』
『홍도는 잘 있느냐』
『동대문을 걷다』
여성경제신문 이상무 기자 sewoen@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