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500만원' 산후조리원, 서울시 '반값 서비스' 나선다
내년부터 시범사업···민간 5곳 공모 2주 평균 비용 '491만원' 절반 수준
서울시가 민간 산후조리원과 손잡고 '반값 산후조리' 시범서비스에 나선다. 평균 500만원에 달하는 산후조리 비용을 절반 수준으로 낮춰 누구나 부담 없이 산후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10일 서울시가 내년부터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 시범사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민간 산후조리원 5곳을 공모해 상반기 중 가동하고 시범운영 성과를 평가한 뒤 2027년부터는 서울 전역에서 서울형 산후조리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전면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 내 민간 산후조리원 2주 이용 평균 비용은 491만원, 최고는 4020만원(6월 기준)에 달한다. 서울형 산후조리는 평균 이용 금액의 반값 수준(약 250만원)의 합리적인 비용에 표준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설치하고 운영하는 공공 산후조리원과 달리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민간이 주체가 돼 시와 협약을 맺어 운영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서울시 내 산후조리원 산모실(1964실)은 출생아 수 대비 과잉"이라며 "공공과 민간이 상생하면서도 효율적인 협력형 대안으로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 모델을 설계했다"고 했다. 서울시는 서류심사, 현장실사, 심의위원회를 거쳐 시범사업 참여 시설을 선정하고 공공 운영 기준을 준수하도록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서울에 거주하는 산모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나 취약계층과 다자녀 산모에게 우선 입소권을 부여한다. 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기 어려운 취약계층의 입소 기회를 보장하면서도 모든 산모가 공정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운영 방침을 수립한다.
2주 이용 비용은 민간의 중위 요금(최저 280만원~최고 4020만원)인 390만원 표준요금을 적용해 산모가 250만원을 부담하고 시가 140만원을 지원한다. 서울 민간 산후조리원의 2주 평균 이용료(491만원)의 반만 내면 이용이 가능한 셈이다. 다자녀가정·한부모가정 등은 50%, 저소득층은 100% 비용을 감면한다.
서울시는 민간 산후조리원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표준화한 산후조리 서비스가 가능한 시설 개선 비용으로 최대 5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에선 입소 전 출산 준비 교육(2회 이상)과 입소 후 모자동실 운영, 모유 수유 지원을 기본으로 유방·전신 관리, 산후 운동 등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정소진 시 건강관리과장은 "신규 건립에 100억원 이상, 최소 3~4년이 소요되고 운영에 재정 부담이 따르는 공공 산후조리원과 달리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공공성과 민간의 전문성을 결합한 합리적 상생 모델"이라고 전했다.
여성경제신문 김정수 기자 essence@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