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무책임한 한수원···APEC 대비 불법드론 대응장비, 행사 끝나고 설치하겠다니
경주 인근 월정 원전 사각지대
APEC 주간 시작으로 경주 회의장 주변에 대한 보안 경계 태세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인접 월성 원전의 APEC대비 불법드론 대응 장비 설치가 지연되고 있어 문제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신성범 의원(국민의힘. 경남 산청·함양·거창·합천)은 30일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수력원자력을 대상으로 한 종합감사에서 “월성 원전이 비(非)상용 주파수 대역 사용 드론 탐지를 위한 RF스캐너 안테나와 레이더 장비, EO/IR 카메라, 고정형재머 등 불법드론 대응 장비 설치를 APEC 이후로 늦춘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원자력발전소는 국가 주요보안목표시설 ‘가’급으로, 현재 모든 원전 주변은 「항공안전법」에 따라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하지만 지난 2021년 3건에 불과했던 불법드론 탐지 건수가 2023년 250건으로 늘어날 정도로 최근 불법드론 관련 위협이 매우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더 큰 문제는 현재 원전에서 불법 드론을 탐지하기 위해 설치한 RF 스캐너가 상용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드론만 탐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월성 원전은 APEC 행사장과 직선거리 약 22km 거리에 있어 보안 강화가 시급함에도 한수원은 비(非)상용 주파수 대역(400, 900MHz) 사용 드론 탐지를 위한 RF스캐너 추가 안테나 설치 목표 시점을 APEC 이후인 11월로 잡고 있어 문제라는 지적이다.
게다가 지난 5월 APEC대비 국가중요시설 대테러현장 컨설팅 결과를 반영해 10월까지 설치하려던 불법 드론 대응장비들(레이더 장비(4대), EO/IR 카메라(2대), 고정형재머(2대))은 아직까지 구매계약조차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신성범 의원은 “APEC 대응을 위해 월성 원전만이라도 비상용 주파수 대역 사용 드론 탐지장치, 레이더 장비, 카메라 등을 서둘러 설치했어야 하는데 문제가 있다”며 원안위 위원장에게 “불법드론 대응에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원전 사업자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촉구했다.
여성경제신문 이상무 기자 sewoen@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