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소비가 견인 건설은 부진···韓 3분기 GDP 성장률 1.2%
제조업·서비스업 동반 확대에 성장 견조 건설투자·교역 조건 악화로 취약성 여전
한국은행 올해 3분기 GDP 성장률이 전 분기 대비 1.2%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작년 1분기(1.2%)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지난 8월 한국은행이 제시한 전망치(1.1%)를 0.1%포인트 웃돌았다.
28일 여성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이번 성장세는 고금리 부담에도 민간 소비가 회복되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확대된 영향이 컸다. 제조업 전반의 생산 개선과 정부 지출 확대도 경기 반등을 뒷받침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경제는 작년 1분기 1.2% 성장 후 2분기 -0.2%로 후퇴했고 3·4분기 0.1% 정체를 거쳐 올해 1분기에도 -0.2%를 기록했으나 2분기 0.7% 반등에 이어 이번 분기까지 성장세를 이어갔다.
민간 소비는 1.3% 증가했다. 승용차·통신기기 등 재화 소비와 음식점·의료 서비스 등 서비스 소비가 모두 늘었다. 정부 소비도 물건비와 건강보험 급여비 중심으로 1.2% 확대됐다. 이는 각각 2022년 3분기(1.3%), 2022년 4분기(2.3%) 이후 약 3년 만의 최고치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장비와 법인용 차량 중심으로 2.4%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자동차 호조로 1.5% 늘었고, 수입도 1.3% 증가했으나 수출 증가폭에는 못 미쳤다. 반면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 부진으로 0.1% 감소했지만 항만·철도·발전소 착공 등으로 감소 폭은 줄었다.
성장 기여도 측면에선 내수와 순수출이 각각 1.1%포인트, 0.1%포인트로 전체 성장을 이끌었다. 내수 기여도는 2분기(0.4%포인트)보다 크게 확대됐으며 민간 소비(0.6%포인트), 정부 소비(0.2%포인트), 설비투자(0.2%포인트)가 성장을 주도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운송장비·컴퓨터·전자·광학기기 중심으로 1.2% 성장했고, 서비스업도 도소매·숙박음식·금융보험 부문을 중심으로 1.3%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업은 전기업 회복으로 5.6% 반등했다. 건설업은 토목건설 증가와 건물건설 감소가 상쇄돼 전 분기 수준을 유지했고 농림어업은 재배업 부진으로 4.8% 줄었다.
3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DI)은 0.7% 증가에 그쳤다. 원유·천연가스 등 수입품 가격이 오르고 자동차·화학제품 등 수출품 가격이 하락하면서 교역 조건이 악화된 영향이다.
수출과 관련해 이동원 경제통계2국장은 기자설명회에서 “반도체 요인이 가장 크고 자동차의 경우 미국 수출은 줄고 있지만 현지 생산은 늘고 있다”며 “EU 관련 전기차 수출은 늘었고 중앙아시아 중심으로 중고차 수익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석유 정제업의 경우 글로벌 과잉이 확대되던 산업인데 최근 주요 정유소 중단으로 공급과잉이 완화되는 상황에 반사이익을 얻어 수출이 늘어난 부분이 있다”며 “이외에 화장품도 유럽 내 유통망이 느는 등 4분기에도 기업들의 이러한 노력이 반영될지 관심 있게 봐야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여성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syeon0213@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