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은행, 캄보디아 송금 4년 새 급증···이상거래 점검 필요
2023년부터 올해 9월까지 지급정지 사례 31건 해외계좌 실명확인·이상거래 탐지체계 점검해야
농협은행을 통한 캄보디아로의 해외송금이 최근 4년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이 농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캄보디아 조직범죄가 본격화한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농협은행을 거쳐 캄보디아로 송금된 연간 금액은 약 3배로 늘었다.
연간 송금액은 2021년 368억원에서 2022년 459억원, 2023년 942억원, 2024년 1038억원으로 급증했다. 올해 9월 기준 송금액도 이미 798억원에 달했다. 2021년부터 올해 9월까지 농협은행을 통해 총 2만1981건, 금액으로는 3605억원(2억5172만 달러)이 송금됐다.
이 가운데 한국인 송금액은 3160억원(2억2045만 달러)으로 전체의 88%를 차지했다. 2023년부터 올해 9월 사이 농협은행을 통해 캄보디아로 송금된 계좌 중 지급정지 된 사례는 31건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한국인을 겨냥한 납치·협박형 보이스피싱에 따른 송금 여부를 면밀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농협은행은 지난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금융사기 방지시스템 구축과 센터 운영에 54억원을 투입했다. 이 기간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8807건, 피해액은 1366억원이었으나 환급금은 217억원(환급률 15.9%)에 불과했다.
어기구 의원은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납치·협박형 보이스피싱이 확산하고 있지만 농협은행의 금융사기 방지 시스템은 여전히 허술하다"면서 "캄보디아 송금이 범죄자금 통로로 악용될 우려가 큰 만큼 해외계좌 실명확인과 이상거래 탐지체계를 전면 재점검하고 현지 사업과 기부금 운용을 투명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성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syeon0213@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