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에 등 터지는 K-배터리···“반사이익” vs “불확실성”
中, 핵심소재 통제 내달 8일 시행 납기 지연, 원자재 가격 상승 우려 美 시장 반사이익 기대 ‘양면성’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의 수출 통제를 예고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단기적 피해는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오지만 장기적으로 산업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다만 양면성이 존재한다. 중국산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 기업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은 공존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와 세관총서는 인조흑연 음극재, 천연흑연, 고성능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등을 ‘수출 허가 품목’으로 지정하고 내달 8일부터 통제 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미중 통상 갈등이 반도체를 넘어 배터리 소재 분야로 확산하는 모양새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중국산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납기 지연과 원자재 가격 상승 가능성을 우려한다.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의 중국산 의존도는 각각 97.7%, 98.8%에 달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주요 기업도 중국 현지 공장을 운영 중이어서 수출 허가 절차 강화에 따른 물류 차질이 불가피할 수 있다.
다만 업계 전반에서는 “단기적 충격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 이후 이미 원료 공급선을 다변화해왔다”며 “중국이 ‘금수’ 조치가 아닌 ‘허가 강화’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흑연 수출 통제 당시에도 서류 심사만 까다로워졌을 뿐 수출이 중단된 적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치가 오히려 한국 배터리 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IRA에 따라 2027년부터 중국산 흑연을 사용하는 기업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어, 한국 배터리 기업이 미국 완성차의 대체 공급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특히 미국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중국 의존도가 낮은 한국산 배터리의 수요 확대가 기대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테슬라와 6조 원 규모의 ESS용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삼성SDI와 SK온도 북미 고객사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소재기업 포스코퓨처엠은 최근 6701억원 규모의 천연흑연 음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포스코퓨처엠은 음극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비(非)중국 기업으로 꼽히며, 이번 조치로 수혜가 예상되는 대표 기업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업계 전반에는 “미중 갈등이 반복될 때마다 기업이 정치 리스크에 흔들린다”는 근본적 우려가 여전하다. 전기차 시장이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국면에 접어든 상황에서 공급망 불안이 장기화되면 산업 성장세 자체가 약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중국이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와 연관된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들을 제재한 사례도 기업들 사이에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조치로 당장 피해가 크지는 않지만, 미중이 보복과 맞불을 이어가는 상황에서는 언제든 돌발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정부의 외교 채널 강화와 기업의 공급망 이원화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유준상 기자 lostem_bass@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