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 마비···연휴 앞두고 우체국 시스템 우려

정부 "우체국 금융·우편 등 파급효과 큰 서비스부터 복구"

2025-09-27     박소연 기자
26일 오후 8시 20분께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리튬배터리 화재가 발생,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어제(26일)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 중단된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서버와 전산장비 보호를 위해 시스템을 차단했으며 리튬이온배터리 특성상 화재 진압에 시간이 소요돼 피해 현황은 아직 집계되지 않았다. 복구 작업은 착수되지 못한 상태로 국가 전산망 정상화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국가 전산망의 핵심 시설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은 전일 오후 8시 15분께다. 전산실 내 무정전 전원장치(UPS) 배터리를 지하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불꽃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UPS는 전산 시스템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로 알려졌다. 

소방당국은 화재가 난 배터리가 58V 리튬배터리로 12개를 수납하는 캐비넷 16개 중 8개가 불에 탄 것으로 파악했다.  화재로 전산실 내부 온도가 급격히 높아지면서 항온항습장치가 멈췄고 열기로 인해 서버 등 장비가 가열될 것이 우려되자 전체 서버 등의 전원을 차단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대전 본원을 비롯해 광주·대구 센터를 운영하며 정부 업무에 필요한 1600개 가량의 정보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브리핑에서 "화재의 영향으로 항온항습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서버의 급격한 가열이 우려됐고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게 보전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시켰다"고 설명했다.

김 차관은 "현재는 항온항습기를 우선 복구 중이며 이후에 서버를 재가동해 복구 조치를 하고자 한다"며 "우체국 금융과 우편 등 대국민 파급효과가 큰 주요 정부서비스 장애부터 신속히 복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전산망 마비에 따라 세금 납부와 서류 제출 기한을 연장하고 국민이 이용할 수 있는 대체 서비스를 안내하고 있다. 화재 당시 전산실 내부온도가 160도에 달하는 등 진압대원의 외부 진입과 진압에 어려움이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위기상황본부를 가동한 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대응 체계를 격상했으나 국가 전산망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차관은 "민원 처리가 지연돼 국민들이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시스템 정상화 이전에 도래하는 세금 납부, 서류 제출은 정상화 이후로 연장하도록 유관기관에 안내하고 협조를 구했다"고 전했다.

이어 "국민께서 정부서비스 장애 발생을 미처 알지 못해 당황하시는 일이 없도록, 오늘 오전 8시 재난문자를 발송했다"면서 "국민신문고 등 주요 정부서비스 이용이 제한된다는 것과 관공서 방문 전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해주실 것을 안내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다소 불편하시더라도 민원이나 서비스를 신청하실 경우 해당 기관의 안내에 따라 대체사이트에 접속하시거나 오프라인 창구를 활용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김 차관은 "구체적인 정부서비스 장애 상황과 대체사이트는 네이버 공지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함을 참고로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syeon0213@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