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C&C 판교 화재 데자뷔···대전 국정자원 '안전성 논란' UPS 배터리 사용
판교 이어 대전, 또다시 UPS 리튬배터리 문제 도마 위로 국가 전산·민간 플랫폼 연속 마비, 제도 개선 시급
26일 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본원 UPS실에서 발생한 화재는 지난해 10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를 떠올리게 한다. 두 사건 모두 발화 지점은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라는 것.
당시 판교 사고로 카카오톡·카카오페이가 수 시간 중단됐듯 이번 국정자원 화재도 정부24, 모바일신분증, 국민신문고 등 70여 개 국가 서비스가 동시에 멈췄다.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8시 15분경 대전 유성구 소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내 UPS실 리튬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UPS는 정전 시 서버가 멈추지 않도록 전력을 이어주는 장치다. 하지만 최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가 탑재되면서 안정성 우려가 반복 제기돼 왔다. 리튬이온은 고에너지밀도가 장점이다.
한데 내부 단락이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열폭주’ 현상으로 불길이 삽시간에 번진다. 지난 2022년 발생한 판교 사고 당시에도 소방 인력이 8시간 넘게 진화에 매달려야 했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 2022년 10월까지 UPS 화재는 54건 발생했다.
국회에서도 “UPS 관련 안전 기준은 납축전지 시대에 멈춰 있어 리튬배터리 위험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반복됐다.
전문가들은 판교와 대전 사례에 대한 공통 원인을 “제도적 후진성”으로 지목한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여성경제신문에 “리튬배터리는 친환경 배터리다. 에너지밀도가 높아 공간, 중량 등 장점이 훨씬 더 많다. 리튬배터리가 스스로 발화를 했을 수 있고 다른 요인으로 인해 발화를 했을 수도 있다. 정확한 원인은 국과수의 결과를 기다려봐야 하겠지만 안전 인증 등 법과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판교 사고 이후 '전기안전관리법'과 '전기사업법'을 개정해 UPS를 법정검사 대상 설비에 포함시킨 바 있다.
2024년 7월 1일부터 UPS의 정기검사가 시행됐고 이미 설치되어 있는 UPS도 정기검사를 받도록 규정됐다.
하지만 국가 기반 시스템이 두 차례나 멈춘 만큼 안전 기준 업데이트와 BMS(배터리 관리시스템) 의무화, 배터리실 분리·환기 설계 적용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성경제신문 김현우 기자 hyunoo9372@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