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차기 사장, 누가 될까···정재훈 전 사장·관료 출신 하마평

정부 조직 개편 윤곽 나온 뒤 논의될 듯  원전·재생E 균형 갖춘 '실행형 관료' 유력

2025-09-19     유준상 기자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2022년 8월 22일 취임 당시 경주 한수원 본사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 황주호 사장이 임기 만료 후 결국 사의를 표명하고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차기 수장 인선에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정부 조직 개편과 맞물려 한수원 사장직은 원전 정책의 향배를 가늠할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황 사장은 지난 1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사직서를 제출한 뒤 19일 이임식을 끝으로 임기를 마무리한다. 당초 법정 임기는 지난 8월 21일 만료됐으나 후임 선임이 지연되면서 한 달여 간 직을 유지해 왔다. 후임자가 확정되기 전까지는 전대욱 경영부사장이 직무대행을 맡는다.

업계 안팎에서는 차기 한수원 사장으로 정재훈 전 사장과 산업부·환경부 출신 관료형 인사가 유력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정 전 사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 한수원 사장을 지낸 경험이 있고, 원전 정책과 해외 수주 협상에 밝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현 정부의 ‘탈원전 시즌2’ 우려 속에서 과거 사장이 재기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또 다른 축은 관료 출신이다. 조만간 출범 예정인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정책 조율이 필요한 만큼, 산업부나 환경부에서 원전·에너지 정책을 다뤄본 경험이 있는 인물이 선임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정부가 최근 원전 확대 기조에는 신중하면서도 재생에너지와의 균형을 강조하고 있어, '실행형 관료'가 적임자라는 분석이다. 

한수원 차기 사장 인선은 아직 공식 절차에 착수하지 않았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사장 공모 절차 개시 후 심사·청문 절차를 고려하면 최소 수개월 이상 소요될 것"이라며 "정부 조직 개편 윤곽이 나온 뒤 본격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번 인선은 단순한 CEO 교체를 넘어 원전 정책의 중장기 방향을 가늠할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원전 생태계 회복을 요구하는 산업계와 기후·환경을 중시하는 정부 기조 사이에서 차기 사장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가 주목된다.

여성경제신문 유준상 기자 lostem_bass@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