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환자 생명줄인데"···국내 인슐린 절반 공급 차질 우려

SLS바이오 품질검사 기관 재지정 불허 다국적 제약사 의약품 공급 중단 우려 국내 환자 절반 이상 쓰는 인슐린 포함 "인슐린 제제 공급 안정화 대책 절실"

2025-09-16     김정수 기자
국내 인슐린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다국적 제약사 제품이 공급 위기에 직면했다. 위탁시험기관 SLS바이오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질검사 기관 재지정 불허를 받으면서 해당 기관 협력 제약사의 인슐린이 수개월간 국내에 풀리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인슐린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다국적 제약사 제품이 공급 위기에 직면했다. 위탁시험기관 SLS바이오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질검사 기관 재지정 불허를 받으면서 해당 기관 협력 제약사의 인슐린이 수개월간 국내에 풀리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환자단체는 "인슐린은 생존과 직결되는 절대적 치료제"라며 식약처의 긴급 대응과 공급 안정화 대책을 촉구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SLS바이오 사태로 다국적 제약사 완제수입 의약품 전반에 대규모 차질이 예상된다. 특히 인슐린은 대체할 수 없는 필수의약품으로 공급이 끊기면 환자들이 곧바로 생존 위협에 직면한다. 한국1형당뇨병환우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품질관리 제도의 엄정함도 중요하지만 환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대안이 먼저 마련됐어야 한다"고 밝혔다.

환우회는 "SLS바이오는 지난해만 3000건이 넘는 품목의 품질검사를 수행했고 그중에는 1형 당뇨병 환자들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인슐린 제제도 다수 포함돼 있다"며 "이번 불허 결정으로 환자들에게 적시에 공급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식약처는 지난 11일 환자단체와 간담회에서 이미 공급 불안을 지적받고도 불과 일주일 만에 이런 사태를 맞게 됐다"며 유감을 표했다.

환우회는 △식약처가 인슐린과 같은 필수의약품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긴급 조치를 즉시 시행할 것 △해외 제약사에서 이미 품질검사를 마친 완제의약품은 선공급 후 사후 품질관리(QC)와 같은 현실적 대안 마련 △품절·공급 중단 징후를 조기에 파악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과 정비 △인슐린 제제 공급 안정화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김미영 한국1형당뇨병환우회 대표는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이번 사태는 국내 인슐린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제약사의 제품 공급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하다"며 "식약처가 빠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다른 기관으로 전환하는 데만 최소 2~3개월이 걸려 공급 공백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해당 제약사가 국내에서 판매하는 인슐린은 총 8개 품목인데 이 중 단 한 품목(펜 타입)에 대해서만 '선공급 후 사후 품질검사(QC)'가 허용된 상태"라며 "필수의약품이라면 전 품목에 대해 일관된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인슐린은 남는다고 나눠 쓸 수도 없고 맞지 않으면 밥을 먹지 못한다. 먹지 않더라도 반드시 맞아야 하는 인슐린도 있다. 그만큼 환자 생존과 직결된다"며 "일부만 사후 검증 방식으로 풀어주겠다는 땜질식 대응으로는 환자 불안을 해소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SLS바이오가 이미 6월에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상황에서 식약처가 3개월 동안 아무런 대책 없이 재지정 불허만 내린 것은 무책임하다"며 "10월 판매 물량부터 QC가 진행돼야 해 10월 이후 다른 질환 환자들까지 연쇄적으로 약 공급 차질을 겪을 수 있다. 조속한 종합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여성경제신문 김정수 기자 essence@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