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수호" 한목소리 낸 野 결집···'내란 음모론' 정면 돌파
조은석 특검에 맞선 집단 항의 지도부·의원들 피켓 시위 동참 한동훈 미화 조갑제 서사 붕괴 정청래 위헌 정당론 명분 잃어
조은석 특검이 추경호 의원을 겨냥한 수사를 본격화하면서 내란 몰이 프레임에 휘둘리던 야당이 총결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특검을 향해 “정치깡패 저질 폭력” “모리배식 내란몰이”라며 총공세를 퍼부으며 정국 주도권 회복에 나섰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특검은 전일 추경호 의원의 사무실과 자택을 압수수색하며 내란중요임무종사와 직권남용 혐의를 적시했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원내대표였던 추 의원이 의총 장소를 네 차례 바꿔 계엄 해제 표결을 방해했다는 의혹 때문이다.
특검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통화 직후 의총 장소가 연달아 바뀐 정황에 주목하며 지시 개입 여부를 규명하겠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조경태 의원이 전당대회 과정에서 내란 음모론적 시각으로 기술된 한동훈 전 대표의 저서를 특검에 제출했고, 조갑제 등 일부 극우 논객들은 한덕수 전 총리가 계엄 직후 추경호 의원에게 “걱정하지 말라”는 취지로 언급했다는 정황을 ‘결정적 증거’라고 주장해 왔다.
국민의힘은 이런 ‘음모론식 내란몰이’ 수사를 정면으로 거부하며 행동으로 맞섰다. 이날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서는 장동혁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와 의원들이 일제히 피켓을 들고 항의에 나섰다. 피켓에는 “정치깡패 특검 중단하라” “내란몰이는 민주당 프레임” 같은 구호가 적혔다. 의원들은 특검의 압수수색을 “야당 탄압 쇼”라고 규정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추 의원 역시 발끈하며 나섰다. 그는 입장문을 내고 “대통령과 당사에서 통화한 뒤 의총 장소를 국회로 옮겼고, 국회의장이 새벽 1시 본회의 개최를 최종 통보했을 때도 의원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조치를 요청했다”며 “누구에게도 표결 불참을 권유한 사실이 없다”고 강조했다. 결국 친윤 세력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계엄 해제 표결을 이뤄낸 영웅으로 한동훈을 미화하려던 서사는 무너진 셈이다.
먼저 송언석 원내대표는 특검을 “판타지 소설식 수사”라며 직격했다. 그는 “추 의원을 피의자로 적시했지만 영장에 특정된 범죄 사실은 없다”며 “도대체 누가 어떻게 계엄 해제를 막았다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어 “없는 먼지를 털겠다는 심산”이라며 “특검은 민주당의 하청 기관으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김민수 최고위원은 “우파는 유죄, 좌파는 무죄라는 이중 잣대”라며 “이재명 혐의는 기약 없이 멈춰 있는데 야당만 겨누는 것은 정치 보복”이라며 "이재명 특별 재판부도 만들자"라는 주장을 내놨다. 양향자 최고위원도 “입법부의 권한을 사정기관이 침탈한 사건”이라며 “민주주의에 오점으로 남을 것”이라고 규정했다. 자신의 계파가 내란 프레임을 앞세워왔음에도 지도부내 발언에선 선을 긋는 기류가 감지되는 발언이다.
여권 내부에서는 이번 공세가 단순한 방어 차원을 넘어 ‘내란 프레임’을 역전시키려는 전략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당 고위 관계자는 “내란 몰이는 한동훈계가 탄핵 국면에서 띄운 프레임일 뿐”이라며 “여권의 공세를 끝내야 당이 산다. 민주당을 겨냥하는 이유는 당장 실체적 위협이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민주당과 특검은 압수수색의 정당성을 강조하며 “추 의원의 행위는 국회 권리를 침해한 중대한 범죄”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정청래 민주당 원내대표는 “유죄 판결을 받으면 국민의힘은 위헌정당 심판을 피할 수 없다”고 공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이미 한덕수 전 총리 구속 시도가 무산된 상황에서 한동훈 전 대표가 12.·3 비상계엄 조치의 내란성을 재확인하지 않는 한 정치적 보복 수사가 명분을 잃을 것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여성경제신문 이상헌 기자 liberty@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