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발사체 한계에도"···中 위성 인터넷에 올인하는 '이유'
MIIT, 위성 통신 발전 지도 의견 발표 3대 위성 인터넷 프로젝트 본격 추진 고빈도 발사 위해 '재사용' 기술 필수 "완성 시 美 작전 환경 흔들 수 있어"
중국이 위성통신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격상하며 저궤도 위성 인터넷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책 지원과 고빈도 발사, 산업 생태계 확장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중국판 스타링크' 구축이 본격화되고 있다.
2일 여성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중국 산업정보기술부(MIIT)는 지난달 27일 '위성통신 산업 발전 촉진을 위한 사업 진입 최적화 지도의견'을 발표했다. MIIT는 2030년까지 위성통신 이용자 수를 1000만 명 이상으로 확대하고 저궤도 위성 인터넷(LEO·Low Earth Orbit)을 휴대전화와 직접 연결하는 서비스를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지도 의견은 △위성통신과 5G·6G, AI의 융합 △국가 주도의 위성 인프라 건설 가속 △민영기업 참여 확대 △응급통신·민생 서비스·산업 응용 등 3대 서비스 우선 지원을 핵심 방향으로 담았다.
저우위저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 연구실장은 "이번 지침은 단순한 정책이 아니라 기술 발전과 산업 수요가 맞물린 결과"라며 "저궤도 위성은 신호가 강하고 지연이 짧아 대규모 위성 인터넷 상용화의 기반이 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위성통신은 군사와 전문 영역을 넘어 휴대전화, 자동차, 드론 등 민간 서비스로 확산해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은 현재 군사용 메가 위성망 '궈왕(国网·GW)', 상하이 국유기업이 주도하는 '첸판(千帆·Spacesail)', 민간기업 훙칭커지의 '홍후(Honghu-3)' 등 3대 위성 인터넷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총 4만2000기 구축을 목표로 현재 약 7000기를 운영 중인 스타링크를 넘어선다는 계획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기술 격차와 발사체 한계로 기한 내 목표 달성이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각 프로젝트별로 허가 후 2년 내 10%, 5년 내 50%, 7년 내 전량 배치를 의무화해 위성 스펙트럼과 궤도 자원의 미활용을 방지하고 있다.
현재 첸판은 2024년 8월 첫 발사에 이어 총 5차례 발사를 통해 90기 규모의 위성이 궤도에 안착했으며 궈왕은 2024년 12월부터 올해 8월까지 단계별로 저궤도 위성 01조부터 09조까지 발사해 총 72기의 위성을 궤도에 배치했다.
문제는 발사 속도다. 첸판은 2025년까지 648기, 2027년까지 1296기, 2030년까지 1만5000기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궈왕은 2030년 이전 10% 배치를 완료한 뒤 매년 1800기를 발사할 계획이다. 현재 90기를 발사한 첸판은 이미 일정상 지연된 상황으로 목표를 맞추려면 매월 40기 이상을 쏘아올려야 한다.
발사체 개발도 관건이다. 중국은 창정 5호B 등 주력 로켓을 활용하고 있지만 대량·고빈도 발사를 위해선 재사용 로켓이 필수적이다. 스페이스X의 '팰컨 9'가 재사용을 통해 발사 비용을 절감하고 '스타십'을 준비하는 것과 달리 중국의 재사용 로켓 실험은 아직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중국은 발사 속도를 끌어올리고 있다. 최근 두 달 동안 궈왕 위성 그룹 5개를 쏘아 올리며 상반기 3개 그룹보다 속도를 높였다. 업계에서는 빈번한 발사가 가능해지면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저궤도 위성 전략이 스타링크와는 다른 경로를 걷고 있다고 분석한다. 스타링크가 LEO 인터넷 서비스 구축에 집중하는 반면 중국은 통신망보다는 군사적 성격을 내포한 전략 네트워크로 진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저우 연구실장은 "중국판 스타링크라는 표현은 편향적"이라며 "중국은 고·저궤도 협력, 군민 융합, 개방적 산업 생태라는 차별화된 경로를 따른다"라고 말했다.
업계 한 전문가는 "궈왕은 표적 탐지부터 추적, 타격까지 연결하는 '킬체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으며 미국 우주군의 군사 위성망 '밀넷(MILNET)'이나 스페이스X의 '스타쉴드(Starshield)'와 유사한 체계로 발전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이 이를 완성한다면 서태평양에서 미국과 동맹국의 작전 환경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