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도적 1위는 옛말"···삼성·LG, 中에 점유율 내줬다
올해 2Q 실적 양사 줄줄이 반토막 LG전자, 글로벌 점유율 4위로 밀려 中, 정부 지원 등에 업고 전략 확대 프리미엄 제품군으로 돌파구 모색
글로벌 TV 시장에서 독주를 이어오던 국내 업체들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경기 둔화로 수요가 정체된 가운데 중국 업체들이 저가 공세를 강화하며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3일 가전업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5%, 47% 감소했다. 반도체 부문인 DS 사업본부의 부진이 영향을 미쳤지만 TV 실적 역시 악화했다.
삼성전자의 TV 사업을 담당하는 VD(Visual Display) 사업부는 2분기 매출 7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7조5000억원) 대비 7% 줄어든 수치며 전 분기(7조8000억원)보다 10% 하락했다.
LG전자도 상황은 비슷하다. TV 등을 포함한 미디어엔터테인먼트(MS) 사업본부는 2분기 영업손실 1917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268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생활가전(HS), 전장부품(VS), 냉난방공조(ES) 등 나머지 사업부가 일제히 실적 개선을 이룬 것과 달리 MS사업본부는 지난해 4분기에 이어 또 다시 부진했다.
이 사이 중국 업체들은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글로벌 TV 출하량 기준 점유율은 2020년 21.9%에서 올해 17.6%까지 떨어졌다. LG전자 역시 11.5%에서 10.8%로 낮아지며 순위가 4위로 밀려났다.
반면 같은 기간 중국 TCL의 점유율은 10.7%에서 13.9%로 하이센스는 8.1%에서 12.3%로 상승했다. 중국 업체들은 정부 지원 하에 부품 조달 비용을 낮추고 신흥국 시장을 중심으로 저가 전략을 펼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 업체들은 프리미엄 전략으로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LCD 중심의 중국 공급망과 차별화되는 OLED, 네오 QLED 등 고급 제품군 확대에 집중하며 시장 리더십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AI 기능과 자체 플랫폼 강화를 통해 사용자 경험 개선도 나설 계획이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