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만기 더봄] 키스보다 달콤한 커피
[백만기의 은퇴생활백서] 여성은 출입할 수 없는 카페 교황, 커피에 세례를 주다
새로운 사상이나 작물은 오해나 반발을 일으키기 마련이다. 커피가 그랬다. 16세기 에티오피아에서 이스탄불을 거쳐 유럽에 유입되었을 때 사람들은 커피를 배척했다. 특히 당시 교황은 커피를 사탄의 음료라 규정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상류층에서 커피가 소비되기 시작하였는데 여전히 여자들에겐 커피 마시는 게 금기였다. 이 같은 사실은 바흐의 커피 칸타타를 들으면 알 수 있다.
이 곡은 커피를 좋아하는 젊은 딸과 이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아버지의 이야기다. 아버지는 딸에게 커피는 해로우니 마시지 말라고 수없이 당부하지만 딸은 ‘아버지, 너무 그렇게 까다롭게 굴지 마세요! 커피를 하루에 석 잔 이상 마시지 못하면 전 고통에 차서 쪼그라들고 말 거예요’라며 들은 척도 안 한다. 나아가 ‘아, 커피 맛은 정말 기가 막히지. 키스보다 더 달콤하고, 맛 좋은 포도주보다 더 부드럽지. 커피, 난 커피를 마셔야 해. 내게 즐거움을 주려거든 제발 커피 한 잔을 따라줘요!’라며 커피 예찬론을 편다.
아버지는 딸에게 커피를 계속 마시면 집에 가두겠다고 위협도 하고, 커피를 안 마시면 예쁜 옷을 사주겠다고 달래 보기도 하지만 딸의 태도는 변함이 없다. 아버지는 마지막으로 커피만 마시지 않는다면 곧 결혼을 시켜 주겠다고 제안하자 딸은 한 가지 조건이 있다며 이 제안을 받아들인다. 아버지가 신랑감을 물색하는 동안 딸은 아버지 몰래 방을 붙인다. 즉, 자기에게 청혼하려는 자는 언제나 커피를 마셔도 좋다는 약속을 해 주어야 한다는 조건을···.
바흐는 이 코믹한 칸타타에서 고루하고 보수적인 성격의 구세대를 대표하는 아버지와 명랑하고 개방적인 성격의 신세대를 대표하는 딸의 대화를 통하여 둘의 차이점을 잘 대비시켜 주고 있다. 이 칸타타의 초연은 음악인들이 정기적으로 모이는 커피 하우스에서 이루어졌다.
거기 모인 사람들이 커피 애호가였던 것을 생각하면 딸의 재치로 인해 모든 사람이 웃음을 지었을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왜 아버지는 딸에게 커피를 못 마시게 했을까? 지금 생각하면 이해할 수 없는 얘기지만 그 당시 사회 배경을 살펴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15세기경 콘스탄티노플에 카페가 처음 생기고 그 후 규모가 커지면서 실내 장식도 화려해졌으며 손님들을 즐겁게 하고자 각종 게임 및 음악, 댄스홀까지도 들어섰다. 금욕을 으뜸으로 삼았던 이슬람 세계에서 신도들이 커피를 마시고 춤과 음악에 빠져 쾌락을 일삼게 되자 카페를 일제히 폐쇄하고 커피를 마시다가 들키면 태형과 같은 벌을 내렸다. 그러나 이런 억압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커피는 더 유행하게 된다.
드디어 17세기에는 베네치아를 비롯하여 여타의 유럽에도 카페가 문을 열었다. 커피가 유럽에 전파될 때도 커피 금지에 관한 논란이 있었다. 커피를 못 마시게 하는 움직임은 가톨릭교회에서 시작되었다. 일부 가톨릭 지도자는 포도주를 못 마시게 하는 이슬람교에 대항하여 이슬람교도가 마시는 커피를 마셔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후 커피를 마셔도 되는가를 두고 여러 논쟁이 이어졌으나 16세기 교황 클레멘트 8세에 이르러 논쟁은 종지부를 찍게 된다.
신자들이 이교도의 음료인 커피 음용을 금지해 달라고 청원하자 교황이 직접 마셔보았는데 그 맛에 반하였다. 그래서 ‘악마가 마시는 거라지만 참으로 맛있도다! 이 맛있는 것을 이교도만 독점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라며 커피에 세례까지 주고 음료로 허용하는 칙령까지 발표한 것이다.
이 일을 계기로 커피는 유럽 전역에 퍼졌는데 처음에는 남성들만 즐겼다고 한다. 그것은 커피가 여자와 아이들에게 좋지 않다는 소문이 있었기 때문이다. 커피 칸타타에서 아버지가 딸의 커피 음용을 만류한 것은 이런 사유로 짐작된다.
카페에 남성이 모여들며 귀가 시간이 늦어지자 가정주부들이 왕에게 카페를 폐쇄해 달라는 청원을 넣게 된다. 커피가 남성의 정력을 상실케 하여 부부 생활을 방해하고 가정을 파괴한다는 것이다.
그러자 남성들은 반발하여 이는 오해이며 커피는 오히려 부부 생활에 도움을 준다는 반박문을 올리고 그들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커피 애호가였던 왕은 여성들의 주장을 기각하고 카페는 살아남게 된다. 그 후 전 세계에 걸쳐 커피가 보급되며 일부 계층이 아니고 남녀노소가 즐기는 대중 음료가 되었다.
여성경제신문 백만기 위례인생학교 교장 eggtre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