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먹구름"···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4.6조,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
잠정 영업이익, 시장 전망치 23.4% 하회 2분기 2023년 이후 2년만에 최저치 기록 DS부문 부진·재고자산 평가 충당금 반영 "하반기엔 수요 회복에 따른 개선 기대"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실적을 기록했다. 반도체 부문 부진과 재고 관련 충당금이 실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삼성전자는 공시를 통해 연결 기준 2분기 잠정 영업이익이 4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94% 감소했다고 밝혔다. 전 분기 대비로도 31.24% 줄어들었으며 이는 시장 전망치(6조69억원)를 23.4% 하회한 수치다.
분기 영업이익은 2023년 4분기(2조8247억원) 이후 가장 낮으며 2분기 기준으로는 2023년 2분기(6685억원) 이후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매출은 74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09%감소, 전 분기 대비 6.49% 줄었다.
업계에 따르면 실적 하락의 원인은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부진과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 반영에 있다. 삼성전자는 "DS는 재고 충당 및 첨단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이익이 하락했다"라고 설명했다.
메모리 부분에 대해선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으로 실적이 하락했지만 고대역폭매모리(HBM) 제품은 고객사별로 평가 및 출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비메모리 부문 역시 AI 칩 관련 대중 수출 제재로 인한 판매 제약과 재고 충당 그리고 라인 가동률 저하가 실적에 부담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회사 측은 "하반기에는 점진적인 수요 회복과 함께 가동률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덧붙였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