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폭발물 우려까지"···3년 개방한 청와대 복귀, 보안 논란에 '시끌'

집무실 이전 보안 문제로 지연 가능성 여민관 포함 전반적 리모델링 검토 중 청와대 3년간 누적 관람객 700만 돌파 "정밀 장비 전수조사해도 보장 어려워"

2025-06-06     김성하 기자
6일 현충일을 맞이해 서울 종로구 청와대 인근에서 시민들이 줄을 서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공약한 청와대 재이전 방침이 본격 논의되는 가운데 당초 취임 100일 이내로 예상됐던 집무실 이전 일정이 다소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대통령의 청와대 복귀 구상이 어떤 속도와 방식으로 현실화할지 당분간 정치권과 국민 여론의 주요 관심사로 남을 전망이다.

6일 대통령실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주에서 다음 주 초에 종합적인 청와대 재이전 로드맵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현 청와대의 보안 문제를 점검해야 하기 때문에 이전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 대통령은 대선 기간 "청와대를 신속히 보수해 집무실로 재이전하겠다"라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청와대는 3년간 시민에게 개방된 상태로 지하 벙커 내 국가위기관리센터 등 보안 시설의 복구가 선행돼야 하는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당선 직후 청와대 재이전을 위한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TF는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총무비서관을 지낸 이정도 전 비서관이 팀장을 맡아 이전 계획을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대통령 관저 이전과 함께 여민관 등 청와대 내 노후 건물 전반에 대한 리모델링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대통령 측 관계자는 "여민관을 포함한 전반적인 리모델링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지난 4월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용산 대통령실은 보안 문제가 심각해 일단 사용하되 청와대 보수가 완료되는 대로 집무실을 이전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달 2일에는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이를 재확인하며 청와대 복귀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대통령실은 보수 작업에 약 서너 달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청와대 본관 내부 세종실 앞 공간에 걸린 역대 대통령의 초상화를 관람객들이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2022년 5월 10일 일반에 개방된 청와대는 누적 관람객 700만 명을 넘어섰다. 본관, 관저, 영빈관 등 주요 시설 일부가 대중에 공개됐고 대통령 집무실과 사적 공간 역시 내부 관람이 가능하도록 운영됐다. 여민관과 지하 벙커 등 핵심 보안 시설은 내부 공개는 되지 않았지만 위치는 알려진 상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수백만 명이 드나든 청와대를 다시 집무실로 사용하는 것은 보안상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기밀이 유지돼야 할 대통령 집무 공간이 지나치게 장기간 노출됐다"라며 도청 장치 설치 가능성 등을 우려했다.

유형창 전 경남대 교수(전 대통령경호실 경호부장)도 "많은 관람객이 다녀간 만큼 폭발물 설치 등 안전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라며 "정밀 장비로 도청 장치를 전수 조사하더라도 완벽하게 보장하긴 어렵다"라고 지적했다.

반면 박관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 행정관은 "청와대 내부 보안시설은 개방되지 않았고 위치 또한 이미 공개된 상태였다"라며 "보안 장치를 재설치하고 구조 일부만 변경하면 충분히 재사용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청와대는 1994년 대대적인 토목 공사를 거친 ‘천하의 요새’로 대통령 의지만 있다면 수개월 내 복귀도 가능하다"라고 덧붙였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