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여성 결혼·출산 의향 증가···마음 변한 이유는?

자녀 돌봄 정책 높은 만족도 영향 저출산 대책 중 주택 공급 기대 多

2025-05-21     김정수 기자
결혼 생각이 있는 20대 여성이 1년 전보다 7.4%포인트 증가했다. 출산 의향도 꾸준히 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결혼 생각이 있는 20대 여성이 1년 전보다 7.4%포인트 증가했다. 출산 의향도 꾸준히 늘고 있다.

21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발표한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25~29세 여성의 결혼 의향은 64.0%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3월 조사의 56.6%보다 7.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전체 여성 응답자의 결혼 의향도 같은 기간 48.2%에서 57.4%로 9.2%포인트 증가했다.

출산 의향도 증가 추세다. 전체 응답자 중 ‘자녀가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지난해 3월 61.1%, 9월 68.2%에서 이번 조사에선 70.9%까지 올랐다. 이번 조사는 올 3~4월 25~49세 국민 26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특히 여성 응답자의 출산에 대한 긍정 답변은 1년 새 51.9%에서 63.4%로 올라 증가 폭이 남성보다 컸다. 연령별로는 20대 여성의 긍정 답변이 34.4%에서 48.7%로, 30대 여성은 51.7%에서 60.1%로 늘었다.

자녀가 없는 20대 여성의 출산 의향은 34.7%로 지난해 9월 조사의 28.1%에 비해 6개월 새 6.6%포인트 급증했다. 반면 ‘자녀를 낳지 않겠다’는 응답은 34.1%에서 28.4%로 줄었다.

결혼 및 출산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한 데에는 돌봄 등 정부 정책의 높은 만족도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조사 결과 자녀 양육 관점에서 돌봄 서비스 정책의 이용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영유아 가정의 돌봄 서비스 만족(긍정+매우 긍정적) 수준은 94.0%였고 초등학생 가정의 만족도도 94.1%로 비슷했다. 돌봄 서비스의 개선 요구 사항으로 영유아 가정은 '비용 지원 또는 감면'(63.4%)을 초등학생 가정은 '프로그램 개선 및 서비스 질 향상'(70.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정부 저출산 대책 중 기대효과가 가장 큰 항목으로는 76.7%가 ‘신혼·출산·다자녀 가구 주택 공급 확대’ 정책을 꼽았다. 이어 ‘유치원 어린이집 무상 교육·보육 실현’ 75.3%, ‘신생아 특례 대출 가구 소득 기준 완화’ 74.9% 순이었다.

향후 정부 지원이 강화돼야 할 분야로는 남성은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 추가 확대’(59.3%)와 ‘결혼·출산 가구 세금 혜택 확대’(58.5%)를 꼽은 응답자가 많았고 여성은 ‘엄마·아빠의 육아기 유연근무 사용 활성화’(56.9%), ‘부모급여, 아동수당 등 현금성 지원 확대’(51.5%)를 주로 원했다.

주형환 저출산위 부위원장은 “결혼과 출산 인식 개선은 반가운 신호이지만 주거 시장 불안과 좋은 일자리 감소 등으로 저출생 반전 동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며 “저출산 정책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체감도 높은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김정수 기자 essence@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