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신뢰 택한 롯데손보, 콜옵션 이행···"투자자 보호가 최우선"

일반계정 자금 활용···보험 계약 영향 無 유사 사례 희박···제재 수위 예측 어려워

2025-05-08     허아은 기자
8일 롯데손해보험은 지난 2020년 발행했던 9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에 대해 콜옵션을 행사한다고 밝혔다. /롯데손해보험

롯데손해보험이 금융당국의 려에도 불구하고 2020년 발행한 후순위채권의 조기상환청구권(콜옵션)을 예정대로 행사했다. 자본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K-ICS) 하락 우려에도 불구하고 투자자 신뢰와 시장 안정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판단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손보는 이날 9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에 대한 콜옵션을 행사하고 상환 절차에 돌입했다. 롯데손보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에 "이번 결정은 투자자 보호와 금융시장 신뢰 회복이라는 원칙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며 "계약자 계정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도록 일반계정 자금으로 상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롯데손보의 작년 말 기준 K-ICS 비율이 콜옵션 행사를 위한 권고 수준(150%)에 미달한다는 점을 들어 콜옵션 이행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조기상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상황에서 일방적인 상환 추진은 심각한 우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롯데손보 측은 일반계정을 통한 콜옵션 행사 자금 마련이 무리한 결정은 아니었다는 점도 짚었다. 롯데손보는 지난 2월 이번 콜옵션 행사를 위해 1000억원 규모의 신규 후순위채 발행을 준비했으나 수요예측 하루 전 감독당국이 증권신고서에 K-ICS 비율 변동치 기입을 요구하면서 후순위채 발행을 포기했다. 통상 사업보고서 제출 전에는 추정치를 증권신고서에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업계에서는 롯데손보가 콜옵션을 이행할 시 K-ICS 비율이 약 4%포인트가량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롯데손보 관계자는 "이번 상환으로 자본이 줄어드는 만큼 최대주주 JKL파트너스는 중장기적 건전성 회복을 위해 자구책을 모색할 것"이라고 했다.

당국 제재에 대해서도 내부에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롯데손보 관계자는 통화에서 "제재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인지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사례가 많지 않아 구체적인 수위나 방식은 예측이 어렵다"며 "지금은 시장 안정이 더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원칙을 지키려 노력한 것"이라고 했다.

이에 더해 롯데손보 측은 당국과의 마찰로 비칠 수 있다는 점도 경계했다. 관계자는 "당국의 권고나 입장은 존중하고 있다"며 "이번 건을 포함해 앞으로도 당국과 긴밀히 협의하며 규제 준수와 계약자 보호라는 두 가지 원칙을 동시에 지켜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롯데손보는 IFRS17 회계제도 도입 초기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산출을 위해 예외적인 모델을 적용했다. 당초 감독당국이 허용한 범위 내에서 이뤄졌으나 이후 당국은 이를 문제 삼으며 지난해 말 정기검사에 이어 올해 초 수시검사도 진행했다.

여성경제신문 허아은 기자 ahgentum@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