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민·쿠팡이츠 독주에 제동···서울시-치킨업계, 공공배달앱 활성화 시동

시·신한은행·18개 프랜차이즈 비용 분담 결제 시 치킨값 최대 30% 할인 가능

2025-04-25     류빈 기자
25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배달+ 땡겨요 활성화를 위한 치킨 프랜차이즈 상생 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서울시

서울시와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손잡고 공공 배달앱 활성화에 나섰다.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등 기존 배달앱의 과도한 수수료 문제로 점주와 소비자 모두 부담을 느끼는 가운데, 공공앱이 수수료 부담을 줄이고 상생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서울시가 공공배달 서비스 '서울배달+땡겨요' 활성화를 위해 18개 치킨 프랜차이즈와 협력해 ‘서울배달+가격제’를 도입한다고 25일 밝혔다.

‘서울배달+가격제’는 서울시와 신한은행, 프랜차이즈 본사가 할인 비용을 나누어 소비자에게 더 저렴한 가격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울배달+땡겨요'로 결제할 때 △배달전용상품권 15% △땡겨요 할인쿠폰 5% △프랜차이즈 자체 프로모션 10%를 적용하면 최대 30%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이번 가격제는 배달앱 시장에서 약 39%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치킨 업종을 시작으로 시행된다.

이를 위해 이날 서울시는 신한은행,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한국외식산업협회, 전국가맹점주협의회, 그리고 BHC, BBQ, 굽네치킨, 네네치킨, 노랑통닭 등 주요 18개 치킨 브랜드와 함께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서울시는 행정적 지원과 사업 운영을 맡고, 신한은행은 가맹점 지원 및 가격제 참여 확대를 담당한다. 프랜차이즈 본사와 관련 외식업 단체들도 가격제 홍보와 확산에 협력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시행 시점과 할인 비용 분담 비율 등 세부 사항은 프랜차이즈 본사들과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협의한 뒤 결정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번 치킨 업종 협약을 시작으로, 향후 외식업 전반으로 가격제를 확대 적용해 공공배달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고, 민간과 공공이 함께하는 상생 구조를 만들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오는 6월에는 ‘서울배달+땡겨요’에 입점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200억 원 규모의 ‘서울배달상생자금’을 조성해 저리 융자를 지원할 예정이다.

해당 자금은 신한은행이 16억원의 보증재원을 출연해 마련하며, 일정 매출 요건을 충족한 가맹점이 신청할 수 있다. 세부 신청 자격과 방법은 6월 중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할 예정이다.

과도한 수수료 문제로 기존 배달의민족, 쿠팡이츠에 대한 비판을 이어온 외식업계는 이번 가격제 도입을 통해 상대적으로 수수료가 낮은 공공 배달앱의 점유율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현재 '땡겨요' 등 공공 배달앱은 시장 점유율 3% 수준에 머물러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번 가격제는 소비자와 자영업자, 기업이 모두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진정한 상생 모델”이라며 “앞으로도 소상공인의 숨통을 틔우고 시민 삶에 도움이 되는 정책을 꾸준히 펼쳐가겠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류빈 기자 rba@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