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일본처럼 韓 관세 협상 직접 나설까···정부도 '예의주시'

관세 협상 재무·통상 '2+2' 형식으로 추진 美 방위비 조정 요구 시 최소화 대응 방침 알래스카 LNG, 관세 협상과 별개로 접근 "2분기 큰 어려움 예상, 돌파구 모색할 것"

2025-04-20     김성하 기자
최상목(왼쪽)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한미 간 고위급 관세 협상이 이번 주 24~25일 워싱턴DC에서 개최될 예정인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과의 협상처럼 직접 협상에 나설지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정부 통상 당국에 따르면 이번 협상은 재무·통상 장관이 동시 참여하는 '2+2' 형식으로 추진 중이며 한국 측에서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여할 예정이다.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20일 KBS 방송에 출연해 "섣불리 협상을 타결하기보다는 짚고 넘어가야 할 사안이 있다"며 "양국이 호혜적으로 풀 수 있도록 협의를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관세 조치는 보복을 부를 수 있는 악순환 구조"라며 "트럼프 대통령도 협상을 통해 문제를 풀자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 안팎에서는 일본과의 관세 협상 당시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 없이 직접 협상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지난 16일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 이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방미 중일 때 직접 협상에 나서 일본 정부를 당혹게 한 바 있다. 

관심 포인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 분담 등 안보 이슈를 관세 협상과 연계해 논의할지 여부다. 그는 과거 한국을 '머니 머신'에 비유하며 방위비 분담금을 100억 달러 수준으로 대폭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최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통화에서도 '원스톱 쇼핑' 방식의 협상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이미 한미 간 방위비 분담 협상이 2026~2030년까지 체결된 만큼 이번 관세 협상에서는 안보 이슈를 분리해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설사 방위비 조정 요구가 나오더라도 기존 합의가 확정된 상황임을 강조하며 그 폭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협상을 이끌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협상 카드로 거론되는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과 관련해서 안 장관은 "관세 협상을 위해 검토하는 건 아니다"라며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의 공급처 확보가 중요하다"고 선을 그었다. 이 사업에는 일본, 대만, 태국, 베트남 등도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조선 산업 협력과 관련해 그는 "미국이 해군력 보강을 위한 조선산업 역량 강화를 추진 중이며 한국이 최적의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차원에서는 제도적 지원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중일 FTA와 관련해서는 "경제적 협력 공감대는 형성됐지만 세부 협력 분야와 내용은 조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1분기 대미 무역흑자는 작년 수준과 비슷하지만 이는 관세 발표 전 사재기성 주문 증가 영향"이라며 "2분기부터는 큰 어려움이 예상되며 이번 방미를 통해 돌파구를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