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영 더봄] 대자연의 달콤한 선물 '꿀' 얼마나 아십니까?
[전지영의 세계음식이야기] 고대 이집트에선 식용 외 방부제와 약으로 사용 ㎏당 1000만원! 세계에서 가장 비싼 꿀은 무엇 바클라바· 메도비크···꿀을 활용한 세계 요리들
따뜻한 봄이 오면 가장 먼저 활짝 핀 꽃의 화사함을 기대하게 된다. 꽃 주변을 돌며 부지런히 일한 벌들의 노고로 우리는 '꿀'이라는 환상적인 달콤함을 선물로 받을 수 있다.
자연이 준 달콤한 선물인 꿀은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만성 염증 감소와 함께 소화 개선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고, 혈압을 낮추어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이러한 꿀은 인류가 가장 먼저 사용한 감미료로 스페인의 아라냐 동굴(La Cueva de la Araña) 벽화(기원전 8000년경)에는 신석기 시대부터 이미 꿀을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고대 이집트 시대 방부제와 약으로 사용
이집트에서는 꿀을 신성한 음식으로 여겼으며 파라오와 귀족들이 즐겨 먹었다. 이집트의 무덤에서 종종 꿀단지가 발견되곤 하는데 3000년이 지나도 여전히 먹을 수 있을 만큼 보존 상태가 좋다고 한다. 이는 항균 작용 덕분에 꿀이 오랜 시간 동안 부패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꿀은 또한 방부제와 약으로 사용되었으며 상처 치료와 미라 보존에도 쓰였다.
고대 그리스의 올림픽 선수들은 경기 전 꿀을 먹어 에너지를 보충했고, 의학의 아버지인 히포크라테스는 꿀을 치료제로 사용했으며 로마 군대는 전쟁 중 에너지를 얻고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꿀을 사용해 왔다.
고대 로마 군대는 전쟁 중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해 꿀을 즐겨 섭취했다. 특히 꿀과 물을 발효시켜 만든 ‘미드(Mead, 꿀 주)’는 전사들의 사기를 높이고 체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전투에서 부상당한 병사들의 상처 치료에도 꿀이 사용되었다.
히말라야의 '미친 꿀(Himalayan Mad Honey)'이나 뉴질랜드의 '투투 꿀(Tutu Honey)' 같은 경우 많은 양을 섭취하면 환각, 어지러움,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이러한 환각 증세의 꿀을 섭취하고 로마 병사들이 적군에게 패배했다는 역사적인 기록도 있다.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은 황제 즉위식에서 로브에 벌 무늬를 수놓았으며, 자신의 통치가 ‘부지런한 꿀벌처럼 강하고 생산적’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이후 꿀벌은 프랑스제국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고 한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꿀은?
튀르키예의 엘비시 꿀(Elvish Honey)은 1Kg당 약 7000달러(약 1000만원) 이상에 판매될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비싼 꿀이다. 이 꿀은 지하 1800m 깊이의 동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된 야생 꿀로 미네랄 함량이 매우 높고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약용 꿀로 유명하다.
다음으로 비싼 꿀은 예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시드르 꿀(Sidr Honey)로 단가가 1000/kg 달러 정도 된다. 1년에 단 한 번 채취되는 희귀한 꿀로 예멘의 사막 기후에서 자라는 시드르 나무의 꽃에서만 생산되어 공급이 제한적이다. 전통적으로 강력한 항균 효과와 면역력 강화 효능이 있어 고급 치료제로 사용된다.
7000년의 세월 동안 유목민 양봉가들이 채집해 온 이 꿀은 시드르 나무(Ziziphusspina-christi)의 화분을 먹는 벌들이 만들어낸다. 시드르 나무는 ‘그리스도의 가시’라고 불리며 신성한 나무로 취급받는 나무로 코란에도 등장한다.
시드르 꿀은 40여 일 동안 벌꿀을 따는데 말린 낙타 가죽을 태운 연기를 피워 야생에서 사는 벌들을 벌집에서 쫓아낸 뒤 칼로 벌집을 따내는 방법으로 채집한다. 보통 0.5㎏의 꿀을 얻기 위해서는 꽃과 벌집 사이를 3만7000번 왕래해야 할 만큼 채집이 어렵기 때문에 비싼 가격이 책정되었다.
꿀을 활용한 세계 요리들
꿀은 세계 각국의 요리에서 중요한 감미료로 사용된다. 천연의 단맛과 풍미를 더해주어 맛있는 요리를 만들 수 있다. 대표적인 요리를 몇 가지 소개하자면 바클라바, 메도비크, 허니글레이즈 살몬 등이 있다.
튀르키예와 중동 지역에서 즐겨 먹는 바클라바(Baklava)는 얇은 필로(Phyllo) 반죽 사이에 견과류(호두, 피스타치오 등)를 넣고 구운 뒤 꿀이나 시럽을 듬뿍 부어 만든다. 바삭한 식감과 깊은 단맛이 특징으로 중동 지역에서 전통 디저트로 사랑받고 있는 음식이다.
러시아와 동유럽에서는 메도비크(Medovik)라는 러시아식 꿀 케이크로, 꿀을 넣은 반죽을 얇게 구운 후 사워크림 또는 연유 크림을 층층이 쌓아 만든 요리인데 하루 이상 숙성하면 케이크가 촉촉해지고 더욱 깊은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뉴질랜드에서는 마누카 허니 글레이즈드 살몬(Manuka Honey Glazed Salmon)이라는 요리를 즐겨 먹는데 뉴질랜드 특산물인 마누카 꿀을 사용해 연어 필레를 글레이즈 처리한 요리로 꿀의 단맛과 간장, 레몬즙이 어우러져 감칠맛이 뛰어나다.
이렇듯 꿀은 단순한 단맛을 넘어 역사 속에서 영양, 의약, 종교, 미용 등 다양한 역할을 해왔다. 인류는 수천 년 동안 꿀을 활용해 건강을 유지하고 문화를 발전시켜 왔으며 현대에도 꿀은 여전히 중요한 식품으로 사랑받고 있다.
온도 상승, 강수량 변화, 극한 기상 현상의 빈도 증가 등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잦은 산불로 인해 꿀 생산량이 많이 줄어들고 있다고 하니 안타깝기 그지없다.
선물은 감사함으로 귀하게 여길 줄 알아야 한다. 자연이 준 선물을 감사하지 않고 우리가 자연을 지켜주지 못한다면 이제 더 이상 우리는 '꿀'이라는 달콤한 선물은 받을 수 없을 것이다.
여성경제신문 전지영 푸드칼럼니스트(세종대 관광대학원 겸임교수)
foodnetworks@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