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유의 코스피 7분 먹통 사태···거래소 "원인 파악 중"
국내 증시, 거래 정지 사고 발생 대체거래소 매매는 정상 진행 증권가 "동양철관 오류가 원인일 수도"
국내 대표 증권시장인 코스피 시장에서 오전 장 중 약 7분가량 거래가 전면 중단됐다. 이 7분 동안 모든 증권사 거래 시스템에서 시세 확인과 주문 체결은 이뤄지지 않았다. 코스피 시장이 거래를 멈춘 건 한국거래소 개소 이래 처음이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37분부터 11시 44분까지 7분여간 코스피 거래정지 현상이 나타났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에서 매매는 정상적으로 이뤄졌지만 주요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에선 호가창이 멈추고 거래 주문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거래소는 이번 전산 장애의 원인에 대해 "현재 장애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며 "증권사 HTS마다 오류가 발생한 시간은 다 다르게 발생한 것 같다"고 밝혔다.
지난 1956년 코스피 개장 이후 야간 선물시장에서 거래 중단이나 조기 폐장 등 사태는 있었다. 하지만 코스피가 시가총액 1000조원 넘게 성장한 이후 정규장 거래가 전면 중단된 건 처음이다.
이에 국내외 투자자의 코스피 거래가 차질을 빚으면서 손해배상 문제로 번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만일 거래소 측 전산 사고로 인해 코스피 거래가 일시 중단됐다면 개인과 기관 투자자의 피해보상 책임 소지가 생길 수 있다.
사실상 국내 증시가 글로벌 증시와 연동돼 움직이는 만큼 장중 오류 시간 동안 제대로 된 대응이 어려워질 수 있다.
금일 코스피는 장 초반 1% 넘게 상승 출발했다. 다만 전산 오류가 발생할 때 상승 폭을 0.3%대로 줄였고, 오후엔 약세 전환하기도 했다.
만일 오류 발생 시점을 전후로 매도 주문을 내려는 투자자가 제때 매도 주문을 처리하지 못했다면 손실 규모는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코스피 거래가 전체적으로 멈춘 경우여서 투자자 피해 규모를 산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증권사의 한 관계자는 "아직 거래소 쪽에서 공식적인 상황 설명은 없었다"라며 "문제가 얼마나 심각했는지 (투자자) 피해를 따져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다만 그는 "모든 증권사에 공통된 문제라서 투자자 피해를 증명하기엔 쉽지 않다"며 "전산 문의는 있었으나 본격적인 민원 절차에 들어간 건 없다"고 부연했다.
한편, 증권가에서는 동양철관 거래가 갑자기 정지되면서 전체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도 나온다.
여성경제신문 서은정 기자 sej@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