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 홈플러스 후폭풍에···롯데-이마트 2강 체제 준비하는 유통가

대형마트 3사 매출 성장 정체 폐점·직원 감축 등 점포 효율화 작업 의무휴업·새벽배송 금지 ‘성장 발목’ 

2025-03-10     류빈 기자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연합뉴스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로 삼파전을 이뤘던 국내 대형마트 시장이 재편될 전망이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하면서 이마트와 롯데마트의 양강 구도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쿠팡에 이어 중국 업체인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이커머스의 입지가 갈수록 커지면서 대형마트 시장 자체의 위기감 역시 커진 상황이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시기부터 이커머스의 약진으로 오프라인 대형마트의 경쟁력이 약화된 상태다. 대형마트업계는 이커머스 업계에 소비자들을 빼앗기면서 높은 고정비 부담과 물가 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로 인해 수익성이 떨어졌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조사한 유통업태 매출 통향에 따르면 지난해 오프라인 유통 업체 매출은 2.0% 성장한 가운데, 대형마트만 유통 업태 중 매출이 0.8% 역성장했다. 백화점과 편의점은 각각 1.4%, 4.3%씩 매출이 성장했다.

각 사별로 봐도 이미 매출 성장은 정체기에 빠졌다. 이마트의 지난해 매출액은 별도 기준으로 약 16조9673억원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218억원으로 전년 대비 35.2% 줄었다. 퇴직충당부채 등 일회성 비용(1398억원) 제외 시 영업이익은 39% 증가한 2616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0.7% 수준에 그쳤다. 

슈퍼를 포함한 롯데마트는 지난해 매출 5조3756억원, 영업이익은 46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3.8% 증가, 영업이익은 36.2%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0.9% 수준에 그쳤다. 양사 모두 퇴직충당부채 등 일회성 비용이 증가한 영향이라고 강조했으나 기존 점 성장률은 0%대 수준에 머물렀다. 

홈플러스의 2023 회계연도 기준 매출은 6조9315억원이지만 3개 회계연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당기순손실은 △2021년 327억원 △2022년 4458억원 △2023년 5724억원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영업손실은 △2021년 1335억원 △2022년 2601억원 △2023년 199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로 인해 대형마트 업계는 비효율 매장을 정리하고 직원을 줄이는 등 점포 효율화 작업에 집중해왔다. 실제로 대형마트 3사의 점포 수는 최근 5년간 32개 감소했다. 지난해에도 6개나 줄었다. 이마트는 2020년 160개에서 2024년 132개까지 점포 수를 줄였고, 롯데마트는 2019년 125개에서 110개로 줄었다. 홈플러스도 같은 기간 140개에서 127개로 감소했다.

오프라인 대형마트 시장이 침체되는 동안 이커머스 업계는 몸집을 키워나가고 있다. 쿠팡은 지난해 매출 41조2901억원(302억6800만달러)으로 전년(31조8298억원·243억8300만달러) 대비 29% 증가하면서 이마트(29조209억원), 롯데마트(13조9866억원)와 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는 형국이다. 2019년 쿠팡 매출이 7조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코로나19 이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인 셈이다.

업계에서는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가 대형마트 업계를 향한 과도한 정부 규제의 결과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코로나19를 거치며 상대적으로 규제에 자유로웠던 이커머스 플랫폼은 빠르게 몸집을 키워나갔지만 대형마트는 의무휴업과 새벽배송 금지 등의 규제에 발 묶여 성장이 정체될 수밖에 없던 환경이었다는 것이다. 

대형마트는 2012년에 제정된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월 2회의 공휴일 의무휴업과 새벽배송 제한 등의 규제를 받고 있다. 실제로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의무휴업 시행으로 인한 매출 감소가 약 1조원 달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형마트의 온라인 배송 허용과 의무휴업일 삭제를 포함하는 유통법 개정안이 거론되지만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대형마트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선 개정안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에 “당시 전통시장 보호 목적으로 개정했다고 하지만 대형마트를 규제한다고 해서 전통시장이 활성화 됐느냐하면 그것도 아니다. 결국 다르게 봐야하는 시장이다”라면서 “영업시간 외 배송 금지로 인해 플랫폼 업체로 소비자 구매채널 이동을 촉진시켜 온라인 사업자와의 경쟁구도에서도 이미 기울어진 운동장을 더 기울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류빈 기자 rba@seoul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