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韓 부정선거 보도 부인에 철퇴 "미군들 SNS 공보 금지"
전 세계 SNS 일시 중단 명령 바이든 라인 독자 행보 차단 주한 미군 등 "조치 받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멕시코 국경에서 진행 중인 미군 작전과 관련된 게시물을 제외하고 모든 공식 SNS 계정에 대한 전 세계적인 일시 금지령을 내렸다. 주한 미군은 한국에서 중국인 99명이 부정선거에 연루돼 체포됐다는 인터넷 매체의 보도를 SNS를 통해 부인한 바 있다.
26일 미군 기관지 성조지(Stars and Stripes)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준비성, 살상력, 전투에 대한 우선순위"와 일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는 SNS 중단 조치를 24일(현지시각) 미 국방부에 전했다. 이에 미 육군 하와이 주둔지와 주한 미군은 해당 조치를 받았다고 확인했다. 주한 미군 X(옛 트위터) 계정엔 22일 이후 현재까지 4일간 아무런 게시물도 올라오지 않았다.
또한 일본 오키나와의 제3해병 원정군과 주일 미국 해군을 포함한 다른 부대들은 질문을 국방부 장관실에 회부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금지령은 전임 바이든 정부 때 임명된 미군 공보관들의 SNS 성명이 현 정부 기조와 엇박자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차단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성조지는 미국 육군 대변인 마이클 도넬리가 "지역사회와 관련된 생명, 신체 또는 시력과 관련된 문제가 있는 경우, 미국 육군 주둔지 하와이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게시하여 군인과 가족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안전을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AP 통신에 따르면 미 국방부의 SNS 지침은 도로시 핑크 미 보건복지부 장관 대행이 최근 취한 조치를 반영한 것이다. 핑크 장관은 정치적 임명자의 승인을 받을 때까지 1월 31일까지 규정, 지침, 발표, 보도자료, 소셜 미디어 게시물 및 웹사이트 게시물 등의 기타 커뮤니케이션을 즉시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미 국방부에서는 미 육군 기동 센터 등 일부 공식 SNS 계정에서 지난 23일(현지시각) 오후 7시까지 게시물을 올렸다. 폭스 뉴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 하에 내려진 SNS 명령은 국방부 내 민간 및 군 대변인에게 지침이 전달되기까지 며칠 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앞서 주한 미군 사령부는 20일 김은총 공보관 명의 입장문을 X를 통해 “한국 언론 기사에 언급된 미군에 대한 묘사와 주장은 전적으로 거짓(entirely false)”이라고 밝혔다.
이는 스카이데일리의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계엄군과 주한 미군이 선거연수원을 급습해 중국인 간첩 99명의 신병을 확보했고 일본 오키나와 미군기지로 압송했다”는 보도를 부인한 것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비공식 취임 연설에서 '부정선거'에 상당 부분을 할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대선에서 캘리포니아에서도 우리는 훌륭한 결과를 냈지만 문제는 그들이 3800만개의 투표용지를 어디로 보냈는 지조차 알 수 없다는 것”이라며 “그리고 그 투표들이 (개표 때) 갑자기 쏟아져 들어온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선거 사무소에서 유권자 신분증을 요구하는 것조차 불법으로 간주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부정행위를 하려고 하지만 우리가 정상으로 돌아가고 상황이 정리되면, 캘리포니아에서도 (민주당에)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자신이 낙선했던 2020년 대선을 가리켜 “완전히 조작된 선거”라며 “그로 인해 우리나라에 있지 않아야 할 사람들이 지금 여기에 있다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