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차 불신 돌파? BYD, 韓 시장 '렌터카 우회로' 투트랙 전략
주요 렌탈 업계 '빅4'와 협력 논의 B2B 공략으로 B2C 우려 돌파 시도 장기 렌탈·대량 판매···점유율 확대 6개 사, 공식 딜러 파트너로 선정
세계 최대 전기차 기업인 중국 BYD가 내년 초 한국 승용차 시장 진출을 선언한 데 이어 국내 렌터카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면서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7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BYD는 최근 롯데렌탈, SK렌터카, 현대캐피탈, 하나캐피탈 등 국내 렌터카 시장 주요 업체들과 미팅을 진행하며 협력을 논의 중이다. 이른바 렌탈업계 '빅4'로 불리는 4개 사는 국내 렌터카 시장 점유율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시장에서 비중이 막강하다.
BYD는 막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B2C(기업 대 개인)뿐 아니라 B2B(기업 대 기업) 시장까지 공략해 국내 저가 전기차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BYD의 렌터카 시장 진출에는 명확한 이유가 있다. 내수 시장 침체와 전기차 화재 우려 등으로 B2C 시장에서의 어려움이 예상되면서 렌터카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초기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으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BYD의 국내 진출 일정은 당초 올해로 예상됐으나 환경부 인증 지연과 내수 부진, 전기차 화재 이슈 등으로 내년 초로 연기됐다. 현재 소형 SUV 아토3, 세단 씰, 돌핀 등 주요 모델이 환경부 인증 절차를 진행 중이다. 전기차 수요가 비교적 적고 중국차에 대한 불신이 있는 한국 시장의 특성을 고려해 BYD는 렌터카 업체에 먼저 차량을 공급해 B2B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는 전략을 선택했다. 이를 통해 기업 대상 장기 렌탈과 대량 판매로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BYD는 국내 승용차 시장 진출을 위해 DT 네트웍스, 삼천리 이브이, 하모니 오토모빌, 비전 모빌리티, 지엔비 모빌리티, 에스에스모터스 등 6개 사를 공식 딜러 파트너로 선정했다. 이들 업체는 내년 초 BYD 승용차 브랜드 출범과 함께 국내 판매, AS 서비스, 고객 관리 등을 담당할 예정이다.
BYD 코리아 조인철 승용 사업 부문 대표는 "딜러 선정을 마쳤으며 권역별 전시장 및 서비스센터 개소 등 세부 사항은 추후 공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BYD는 전 세계 99개국에서 딜러 체제를 운영 중이며 한국 시장에서도 동일한 방식을 적용해 빠른 시장 안착을 목표로 하고 있다.